골드바흐의 추측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지음, 정회성 옮김, 강석진 감수 / 생각의나무 / 200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저는 아주 아주 수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그래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처음에 친구에게 책을 받아 들어서는 무슨 이런 책을 읽나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읽다보니 무슨 소설책을 읽는듯한 느낌을 받았다. 어느 한 수학자의 성공했다고 볼수도 있고 와전 실패했다고 볼수 있는 인생을 그 수학자의 조카가 써 놓은 것이다.

그 조카는 삼촌과 같은 수학자의 길을 걸으려 했다가 어떠한 읽을 맞이하게 되어 그 꿈을 포기 하고 마는데 그는 결국 수학자의 길을 택한다. 이 책은 그 조카의 이야기도 있고 수학자 삼촌의 이야기도 있다. 그 조카는 결국 수학자가 되지 못하고 경영의 길을 걷게 되는데...삼촌은 일평생을 '골드바흐의 추측'이라는 것이 받쳤다...그의 일평생은 헛되고 만것인가......?

수학이야기와 관련된 책인데도 지루하지 않고 재밌다. 수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읽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훌륭한 수학자가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밥 힘으로 살아온 우리 민족 - 우리의 음식문화 이야기 아이세움 배움터 4
김아리 지음, 정수영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의 밥상에서 절대로 빼놓을수 없는 밥...밥 말고도 우리 민족은 음식 문화가 무지 다양하다. 이 책은 그런 음식 문화를 알수 있는 책이다. 우리 고유 음식의 유래와 음식에 담긴 지혜등을 알수 있다. 조금 길지만 컬러라서 보기에도 간편하다. 요즘처럼 새로운것만 추구하는 시대에 발맞추어 나가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우리의 옛것도 소중히 하는 것도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바른 먹거리를 알려주는 내용도 있어 아주 유익하다. 바르게 먹는것이 바르게 살아가는 것일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일 나라 북한 여행 - 어린이를 위한 북한 백과 1 어린이를 위한 통일백과 1
이찬행 지음 / 미래엔아이세움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남과 북은 어서 빨리 통일을 해야 할 것이다. 함께 살아 가면서 경제성장을 이루고...이 책은 남북한이 머지않으면 서로 화해하고 편안히 잘 지낼거라고 한다...조금 길긴 하지만 유익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는 북한 아이들이 어떻게 공부하고, 놀고, 무엇을 먹는지..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들이 잔뜩 들어있다. 읽다 보면 신기하고 듣도 보도 못한 이야기가 나온다..그래서 지루하지 않다. 모르는 것을 하나하나 알아가는 것..짜릿함 마져 느낄수 있을 것이다. 빨리 북한과 함께 하는 그날이 왔으면 좋겠다. 이 책을 읽고 우리가 어떻게 하면 함께 잘 살수 있을까 생각해 보는것도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의 어린 영웅들
레베카 하젤 지음, 헬렌 칸 그림, 한창희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어린아이들이라고 무시하면 안된다..그 아이들이 커서 우리의 큰 꿈나무가 될 것이다. 우리의 세계속의 어린 영웅들을 보면..안네 프랑크, 파니 멘델스존, 다윗,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이크발 마시호...등등 무지 많다. 치명적인 신체 결함과 편견, 혹독한 사회 여건을 이겨나가면서 아주 힘들게 꿈을 실현해 갈수 있었다. 이런 점을 많이 배우고 싶다. 어린아이들이 이 글을 읽으면 많은 점을 깨달을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희망을 키워나가면서 사회를 배우고...그러면서 커서 훌륭한 사람이 될 것이다. 지금 우리의 현실에서 믿을 수 있는 사람은 어린아이들일 것이다. 힘든 경제 속에서 어린아이들의 꿈과 희망을 키워주는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간을 담는 그릇 - 일리인이 들려주는 시계의 역사 아이세움 배움터 8
마하일 일리인 글, 박수현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3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 인간이 만들어낸 최초의 시계는 뭘까?? 그것은 그림자의 길이를 발걸음으로 재는 것이라고 한다. 지금 시계가 없다면 사람들이 살아갈수 있을까?? 아마 일분 일초라도 시급해 서로 시계를 찾아 해메일 것이다. 일정하게 흐르는 물의 양으로 재는 물시계... 사람들에게 시간을 재는 것은 무척이나 중요하다. 아니 없어서는 안된다. 나에게도 그럴것이다. 사람들은 '항상 정확하게, 같은 시간을 두고 움직이는 것'을 만들어 내기 위해 열심히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하지만 나는 그것이 옳다고만은 생각하지 않는다. 시간을 흘러가는대로 내버려 두는것도 조을거라 생각한다. 자르고 재고...인생은 짧은데 너무나도 바쁜 생활을 하는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