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 포 조던 - 세상을 떠난 아버지가 생후 7개월 된 아들에게 남긴 사랑과 희망의 이야기
다나 카네디 지음, 하창수 옮김 / 문학세계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운이 따른다면, 가끔은 무지개를 잡는 것도 불가능 하진 않아.

저널 포 조던

아들에게 이런 말을 남길 수 있다는 건, 참 멋지다는 생각이 든다.

"너는 무엇이든 할 수 있어." 라는 말을 흔치 않게 표현하였다는 생각이 들어서 일까.

아니면, 현실을 마주하기보다 응원을 원하는 때가 올 때 아이의 등에 날개를 달아주는 말 같아서 일까.

조던에게 남긴 수많은 편지글 중 나는 이 한마디가 계속해서 마음속을 맴돈다.




작년이였던가. 스쳐지나가듯 봤던 영화의 예고편 하나가 불쑥 머릿속에서 고개를 내민다.

"세상을 떠난 아버지가 생후 7개월 된 아들에게 남긴 사랑과 희망의 이야기."

예고편의 짧은 분량이였음에도 마음 한켠이 뭉클해졌었기 때문에 기억에 남았었는데, 이렇게 책을 통해 그의 편지를 직접 접하게 되니 그 뭉클함이 다시 느껴졌다. 원래 나는 영상보다 책의 활자를 통해 머릿속으로 그려봄으로써 내용을 음미하는걸 좋아하는 편이라 더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만약 누군가가 너의 결정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너 자신의 힘으로 당당히 서도록 하렴.

너의 인생이지, 그들의 인생이 아니니까.

처음 이 책의 제목인 'A journal for Jordan' 과 영화의 예고편을 보았을 때, 나는 당연히 이 책 전체가 편지글 형식이라 생각했다. 물론 아버지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말이다. 하지만 책의 첫장을 넘기고 읽기 시작하니 조던의 어머니, 다나 케네디의 편지글이었다. (저자가 떡하니 다나 케네디라고 써있었는데 왜 눈을 뜨고 보질 못했는지..)

사랑하는 아들 조던에게 남기는 어머니의 편지와 곳곳에 삽입되어 있는 아버지의 편지.

조금 다른 이야기이지만, 조던이라는 아이가 참 축복받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모가 자식을 위해 쓴 편지가 책으로 출판되어 나오는건 흔한 일은 아니니까.

그가 남긴 편지 곳곳에는 조던을 향한 아버지의 사랑이 느껴졌다. 아들에게 특별한 선물을 주고 싶어 바쁜 와중에도 미국에서, 이라크에서, 그리고 쿠웨이트에서 틈이 날 때 마다 적은 그의 글은 빼어난 문장 솜씨가 아닌 사랑이라는 진심을 통해 감동을 전해주었다.

그가 자신의 아내인 다나 카네디를 어떻게 만났고, 얼마나 사랑했으며 또 생각했는지 또한 그의 글에서 찾아볼 수 있었기에 찰스 먼로 킹 상사가 아버지로써 뿐 아니라 한 여자의 남편으로써도 좋은 사람이였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난 있는 그대로의 그녀를 사랑해. 난 그녀와 너무 오래 떨어져 있을 수가 없었어.

그래서 늘 기도하지. 늘 함께 할 수 있도록.

책의 첫 장을 펼치면 옮긴이의 편지가 나온다.

모국어로 된 글을 읽을 때와는 달리 번역을 하다보면 감정이입이 잘 일어나지 않기에 울컥해지는 경우는 매우 드뭄에도 불구하고 저널 포 조던은 그렇지 않았다는 말.

아마, "아무리 가져도 부족하고, 아무리 주어도 모자라기만 한" 사랑이 이 책에 가득 담겨 있어서 일 것이다.

그렇기에 하품으로 인한 눈물을 제외하고 책을 보고 눈물을 흘리는 별로 없었던 나도 눈물이 났던 거 겠지.

저널 포 조던은 슬픈 이야기가 아니다.

사랑하는 아들에게 남긴 사랑과 희망이야기 이다.

그리고 어쩌면, 누군가의 아들이자 딸인 우리에게 남긴 이야기 일 것이다.

나는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이 그의 편지를 통하여 그 사랑과 희망을 찾길 원한다. 발견하고, 살아가길 원한다.

하지만 나 또한 살아가는 게 녹록치 않아서, 마음 한켠에 늘 품고 다니는 말이 있다.

그러다 누군가를 축복해주고 싶을 때, 꺼내놓는 말.

"나는 네가 어떠한 순간에도 행복을 찾아내는 사람이 되길 기도할게."

이 글을 읽는 사람들도 그러길 바란다.

서평으로 시작하여 축복으로 끝나게 되었지만, 당신의 순간들이 행복하길.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