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텀의 세계 - 세상을 뒤바꿀 기술, 양자컴퓨터의 모든 것
이순칠 지음 / 해나무 / 202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양자물리는 아무도 이해할 수 없다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 당연하며, 만일 마지막 쪽까지 읽고 덮었을 때 양자물리가 이해된다고 생각한다면 책을 제대로 읽지 않은 것이다."




몇페이지에 걸친 서론에서 저자는 이 책의 설명들을 어렵게 느낄지도 모르는 독자들에게 마음 편한 결론을 내려준다. 아는 것과 이해하는 것은 다르기 때문에 물리학자인 저자 자신도 양자물리를 아는것일 뿐, 이해하지는 못한다고 말이다.

이 말에 힘을 입어 평소에 관심이 있던 양자컴퓨터를 알고자 열심히 책을 읽어내려갔고 마지막까지 용기잃지 않고 책의 마지막장을 덮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결과, 정말 양자물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책읽기를 마무리하였다. 그렇다면 이 책을 읽으나 마나한게 아니냐는 질문을 던질 수도 있겠지만 저자가 인용한 머리 겔만은 이렇게 이야기하였다.

'양자 물리를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의 차이는 모르는 사람과 원숭이의 차이보다 크다. 양자물리를 모르는 사람은 금붕어나 다름없다'라고.

그럼 적어도 이 책을 끝까지 읽어 양자물리를 아는 수준에는 이르렀다면, 금붕어신세는 면하지 않았을까 싶다.

간단히 이 책의 특징을 이야기해보자면, 이 책은 양자물리를 어려워할 독자들을 위하여 군데군데 그림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중첩이라던지, 병렬처리라던지 하는 조금은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물리 용어들을 그림과 함께 최대한 쉽게 설명하면서 독자가 양자물리를 '알아'가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또 한 챕터가 끝날때마다 [물리학자가 사는 세상] 이라는 짧은 부록들이 수록되어 있어 새로운 지식들을 읽다가 자칫하면 지쳐버릴 수 있는 독자들을 쉬어갈 수 있게 해 준다.

마지막은 양자컴퓨터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지금 양자컴퓨터의 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이든다.

늘 가벼운 소설 위주로 읽다가 오랜만에 지식을 전달하는 글을 읽으니 조금, 많이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였지만 최근 양자컴퓨터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제법 재밌게 읽었던 것 같다. 지금 당장 양자컴퓨터가 상용되긴 어렵더라도, 언젠가 상용화될 그날을 기대하며 한번 쯤 읽어보길 추천하는 바이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