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인생을 엉망으로 만드는 원인은 결핍이 아니라 과잉 때문이다.

인생을 엉망으로 만드는 원인은 결핍이 아니라 과잉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스팩 - 제9회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77
이재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싸템‘은 아니지만 ‘인생템리코더를 지키기 위한한판 승부!
청소년은 고유의 재능과 개성을 발견하고 이를 연마하기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품성을 길러 나가는 존재라는 것을, 웃음 가득한 문장과 풍부한 에피소드로 몰입감있게 펼친 식스팩을 선택하는 데 심사위원의 이견은 없었다. 리코터 음률 같고, 식스팩 같은 이번 소설이 청소년에게 큰 사랑을 받기 바란다.
_박상률· 김경연 · 김종광 (제9회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상 심사위원)

위로하고 싶었다. 인정받지 못하고 주류가 되지 못한, 그러나 너무나 사랑하는 그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그대를 아무도 인정해 주지 않고, 모두가 모난눈으로 바라볼지라도 주눅 들지 말자. 그대는 스스로의 길을 훌륭히 걸어가고 있으니, 조금만 참고 견디자 분명 겨울은 가고 봄이 오리라.
_작가의 말 중에서SEA.

‘인싸템‘은 아니지만 ‘인생템리코더를 지키기 위한한판 승부!
청소년은 고유의 재능과 개성을 발견하고 이를 연마하기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품성을 길러 나가는 존재라는 것을, 웃음 가득한 문장과 풍부한 에피소드로 몰입감있게 펼친 식스팩을 선택하는 데 심사위원의 이견은 없었다. 리코터 음률 같고, 식스팩 같은 이번 소설이 청소년에게 큰 사랑을 받기 바란다.
_박상률· 김경연 · 김종광 (제9회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상 심사위원)

위로하고 싶었다. 인정받지 못하고 주류가 되지 못한, 그러나 너무나 사랑하는 그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그대를 아무도 인정해 주지 않고, 모두가 모난눈으로 바라볼지라도 주눅 들지 말자. 그대는 스스로의 길을 훌륭히 걸어가고 있으니, 조금만 참고 견디자 분명 겨울은 가고 봄이 오리라.
_작가의 말 중에서SE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이가 들수록 자기에게 있는 세 가지를 잘 파악해야 한다더라. 먼저 내가잘하는 일을 알아야 하고, 그다음 내가하고 싶은 일을 알아야 하고, 마지막으로내가 해야 하는 일을 알아야 한다더라고."
"음......." 
"여기서 잘하는 일은 특기야. 하고 싶은 일은 꿈이고. 그리고 해야 하는 일은직업이라고 하자. 이것에 모두 해당하는 교집합이 있을 거란 말이야, 그 교집합을 찾으면 돼. 그러니까 특기가 꿈이고 그게 직업이 돼서 돈도 벌면 최곤 거지."



하대는 상대방의 시선에서 나온 비교였고, 비교를 거부하자 아무것도 아니게 되었다. 담담하게 대응하는 근배를 사람들은 더 이상 함부로 대하지 못했다. 걱정또한 지금 현재의 일에만 집중하겠다고 마음먹자 실재하지 않는 허상에 불과해졌다.

전원주택에 끊이지않는 벌레들을 모조리 살충할 수 없는 것처럼, 인간으로서 살며 얻어가는 불편하고 곤란한 일들을 받아 안고 사는 법을 체득해갔다.
평안, 평안은 문제가 해결되어서가 아니라 문제를 문제로 바라볼 수 있어 가능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창에서 빠져나올 결정적인 한마디가 필요하다면, 로마의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Epiktetos 의 말을 기억하자. 이 고대철학자는 핵심을 꿰뚫고 있다. ‘우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것은 사물이나 사건이 아니다. 그것을 바라보는 우리의 생각이 불안의 원인이다. ‘ - P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장 과정에서 부모로부터 자주 화풀이를 당하거나 혼난 아이들은 ‘베버의 법칙‘에 따라 반응한다. ‘동일한 자극이 지속되면감해져서 반응하지 않고, 이전보다 더 큰 자극이 가해져야 반응한다‘는 것이 베버의 법칙이다. 자주 화내는 부모 밑에서 크는 아이들은 나름의 생존법을 터득한다. 언제까지 분노하는 부모에게쩔쩔매며 살 것인가? 능력이 부족한데 어쩌란 말인가? 결국 아이는 부모의 감정적 반응을 무시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학교에서도 마찬가지다. 체벌과 호통으로 가르치면 아이들은 회피하는 법을 배운다.
- P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