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 수업 - 그들은 어떻게 더 나은 선택을 했는가?
조셉 비카르트 지음, 황성연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정 수업

하루에도 수많은 결정을 한다. 가벼운 결정도 있지만 고민과 망설임으로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나이가 들수록 무언가를 결정하기가 더 망설여지기도 그 무게도 더 커지는 것 같다. 특히 가정을 이루고 아이가 생기자 결정해야 할 것들은 훨씬 많아진 것 같다. 결정이 많아질수록 결정하는 것이 피곤하고 자꾸 미루게 되는 것 같다. '결정에도 훈련이 필요하다!' 이 글귀를 보자 이 책을 읽고 싶어졌다. 우유부단함에서 벗어나 결정이 좀 더 쉽고 편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결정이 두려운 이유는 선택 자체의 두려움과 선택의 결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라고 이 책에서는 이야기한다. 더 나은 선택을 못할 것 같은 두려움과 잘못된 선택을 할 것 같은 두려움으로 인한 선택 자체의 두려움. 그리고 실패할 것 같은 두려움, 높은 곳에서 떨어질 것 같은 두려움, 동일 시 될 것 같은 두려움, 인정받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 이기적으로 보일 것 같은 두려움으로 인한 선택 결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라고 한다. 선택을 망설여지는 이유를 생각해 보면 이 책에서 이야기한 이 이유들이 맞는 듯하다. 이유를 보니 결정이 좀 더 쉽게 느껴진다.

아무리 미진한 결정을 하더라고 '후회'는 쓸모없다.

최악은 후회하게 될까 봐 두려워하는 것이다.

p.47

이 책은 '당신이 결정을 못 하는 진짜 이유', '나를 알면 길이 보인다', '의지를 실행으로 이끄는 추진력', '후회 없는 결정의 기술' 4부로 나누어 결정에 대해 이야기한다. 결정의 어려운 이유를 설명하고 결정을 좀 더 쉽게 하도록 결정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모든 파트에서 책 중간중간에 '결정 포인트'를 알려주는 데 이 결정 포인트는 도움이 되는 것 같다.

결정을 할 때 A와 B의 선택에서 고민될 때가 있다. A와 B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하고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그리고 결정의 결과는 선택한 'A이거나 B'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 책을 보고 내가 선택한 것이 A와 B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A와 B 사이를 고민할 때 우리는 C(머뭇거림)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는 A와 B가 아니라 D, E, F라는 새로운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AB 사이를 고민하는 동안 그 사이에 AB에도 영향이 생겨서 겉으로 보기엔 AB이나 새로운 결과가 나타난 다는 것이다. 돌이켜 생각을 해보면 그런 일들이 있었던 것 같다. 초대에 대한 답을 늦게 해 상대방의 준비가 바빠진다거나, 여행 숙소를 놓쳐서 다른 곳으로 간다거나 등 결과가 같다고 생각하였으나 안을 들여다보면 조금 차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결정을 미룬다는 것이 같은 결과를 늦게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는 걸 느끼게 되었다.

결정을 할 때에는 결정과 거리 두기가 필요하다고 한다. 이러한 원근법은 의사결정의 필수요건이라고 한다. 결정 사이의 자신의 거리를 유지하는 건 쉽지 않겠지만 결정에 대해 거리를 두고 멀리 바라보는 것이 좋은 결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좋은 판단은 경험에서 오고, 경험은 나쁜 판단에서 온다는 말이 있다. 결정하기를 두려워한다면 좋은 결정은 만들 수 없는 것 같다. 결정은 추측으로 된 부분이 크고, 예상치 못한 우연성도 반영된다. 그렇지만 우리는 결정의 주인이다. 결정을 두려워하지 말고 결정의 결과를 좀 더 멀리 내다본다면 좋은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