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목격담, UFO는 어디서 오는가 크로스로드 SF컬렉션 4
이영수(듀나) 외 지음 / 사이언티카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목격담, UFO는 어디서 오는가

이 책은 사서 읽을 만한가?

이 질문에서 글쎄, 하고 고민하는 사람들이 가지는 고민중 크게는 SF = 공상과학소설 = 어렵고 황당무계한 것 이라는 (어쩌면 그릇된) 인상이 크게 자리잡고 있을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 사실 할 말이 많지만, 너무너무 많지만, 각설생략하겠습니다.

'오해에요. 그렇지 않습니다. 읽으세요'입니다.

한국의 SF는 오히려 너무 '우리나라의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한 것이 탈이다!' 하는 게 제 입장입니다만 여기서는 일단 이야기하지 않겠습니다.

이 작품집의 단편들이 사회적 현실의 은유와 반영이 많으며, 과학적 사실을 몰라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작품들입니다.

가장 큰 특징들로 제가 느낀 것은 '자의식'과 '현실 반영'이었습니다. 이런 면 때문에 SF적인 요소는 배경이나 장치로만, 혹은 아이디어 정도로만 한정되어, 어설프게나마 꾼인 저 같은 사람들은 조금 아쉬운 점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저는 이런 SF로서의 요소를 확실히 밟고 있는 작품은 듀나의 <수련의 아이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SF적인 장치와 배경을 공유하는 또 다른 장르 소설의 형태를 보이게 합니다. SF 사회파 미스터리 소설, SF 밀리터리 소설, SF 심리 소설, SF 테크노 스릴러(는 조금 이상하군요.) 등등.

오히려 이런 특징이 접근성을 높이고 경직되기 쉬운 장르 소설의 활력을 준다는 점도 밝히고 싶군요.

SF에서는 1인칭이, 우리나라나 일본의 문단소설 만큼 자주 쓰이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설명해야 할 정보가 많아서 1인칭에는 제약이 있기 때문 입니다. 그러나 이 단편집에는 1인칭 시점을 선택한 작품이 많았습니다. 이는 일본에서도 주로 보이는 현상인데, 츠츠이 야스타카를 비롯한 일본SF 작가 중에는 1인칭이 많이 쓰는 작가가 많습니다. 과학적 사실 보다 기괴한 배경과 상황을 이용해 은유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작품이 많습니다. 이는 이 단편집에서도 두드러지는 특징들이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가에 대해서 제 생각을 조금 적자면, 자아나 내면을 사생하고 묘사하는 것이 예술이라고 생각하는 기존의 문학적 전통에 더해, 일본의 경우에는 일본의 자연주의 문학(사소설)의 전통이 거기에 더해져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츠츠이 야스타카가 순수 소설을 쓰는 문학자로서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나 싶군요. 우리나라의 경우, 순수-참여 문학 논쟁 때 부터 이런 문제가 대두되어 오지 않았나 싶은데 자세한 논의는 제가 문외한인 고로 생략하고자 합니다.

아쉬운 점을 조금 적자면, 작품들 중에 몇몇은 설명이나 정보가 조금 과도하게 설명되거나, 혹은 효과적이지 못한 부분이 있었고, 조금 드라마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많아 번쇄한 경향이 있었습니다. 약간은 작위적인 장치도 있었고요. 이런 부분 때문에 SF적인 면이 효과적으로 녹아들지 못해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전체적으로 사회적, 종교적 은유나 사고실험이 돋보이는 작품군이 많았습니다. 절대 '공상' 과학소설은 아니라고 강조하고 싶군요. 낭만주의적인 자세가 옅보이는 작품도 많아 페이소스가 강조되는 면도 돋보였습니다. 아련한 느낌이 남는 작품들이 많습니다. 어떤 작품들인지는 직접 읽어보시면서 찾아보시길.

뱀발입니다만, <우주와 그녀와 나>는 존 C. 릴리 박사의 ECCO를 떠올리게 하는 소재가 있더군요. 기를 소재로 한 외계문명과의 관계를 미시적인 시점에서 다루고 있으니 일독을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독한 시월의 밤
로저 젤라즈니 지음, 이수현 옮김 / 시공사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작품은 하드보일드 풍 + 크틀후 신화를 비롯한 레퍼런스 + 소설을 여러 번 읽게 만드는 힘인 에피소드이 세개가 돋보인다.


로저 젤라즈니가, 마지막으로 쓴 작품.

이것 만으로도 보고 싶은 마음이 마구마구 드는 사람이라면, 굳이 이 글을 읽을 필요가 없다. 아마 많은 사람들이 이미 이 글을 읽지 않고 이 책을 선택할 것이다. 이 글은 그렇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썼다. 로저 젤라즈니에 대해서는 굳이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할 필요가 없는 사람이니까. 궁금하면 검색해 보시길.

나는 이 작품을 구성하는 방정식이 이렇다고 본다.

+ 하드보일드 풍 구성과 문체가 보여주는 장점
+ 미국의 집단무의식을 배경으로 한 임장감

이에 대해 하나하나 검증해나가고자 한다.


         1) 하드보일드 풍 구성과 문체가 도대체 뭐냐?

하드보일드에 간략히 서머라이즈 하면 이렇다.

대사와 행동, 외면 묘사, 객관적인 내면 서술 등으로 사건과 상황을 쌓아올리는 문체.

쉽게 말해, 작가의 개입, 설교, 해설(흔히 어린이용 특수촬영 드라마인 <스필반>이나 <슈퍼 전대 시리즈> 같은 데서 신무기가 등장할 때 나오는 나레이션 같은) 같은 것을 배제하고, 간결하게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하드보일드 문체는 사실 로저 젤라즈니의 특기다. 이 작품은 그 중에서도 대화가 돋보인다.

각각의 동물들, 게임 참가자라 불리는 등장동물들이 이야기의 초점이다. 이 동물들의 대화가 좋다. 불필요한 것이 전혀 없는 간결하고 위트있는 대화와 유머가 일품이다.

이야기는 특히 스너프의 시점으로 진행되는데, 로스 맥도널드 이후로 초점인물에게만(이 경우 초점동물이지만) 시야가 한정되어 전체 그림의 조각이 하나 하나 전달되어 마지막에 큰 그림이 팡, 하고 떠오르는 것 또한 전형적인 하드보일드(이 경우 장르)의 방식이다.

우리는 처음부터 이 게임이 얼마나 중요한 것이고 인물이 어떤 관계고 하는 것을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 자연스럽게 스너프의 일상을 쫒아가다보면 어느샌가 이 게임에 납득하고 스릴을 느끼게 된다. 이는 하드보일드 풍 구성의 장점이다.


이러한 방식의 좋은 점은, 독자가 한꺼번에 정보를 받아들여 소화불량을 일으키지 않아 스토리를 따라가면서 자연스럽게 배경의 큰 정보를 소화시킨다는 점과, 이야기를 다 읽은 순간 등장인물에 더없이 애착이 간다는 점이다.

 

           2) 미국의 집단무의식

어렵게 써 놓았지만, 사실은 간단하다.

이 작품은 영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그 배경에 깔려 있는 것은 미국의 대중문화다.

스티븐 킹이 뛰어난 문체와 스토리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미국 만큼 지지를 받지 못하는 이유도, 스티븐 킹이 미국 대중문화의 배경 하에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미국은 역사가 짧은 나라다. 미국인들의 자아를 구성하는 핵심에는 전해져 내려오고 공유되어 온 전통이나 신화가 있는 것이 아니라, 영화나 소설, 만화 등의 대중문화가 만들어 낸 이미지가 존재한다.

임장감은 기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들의 자아와 기억을 구성하는 성상(Icon)에는 개인적 체험 안에 잠재된 문화나 행동양식이 아닌, 텔레비전이나 은막을 통해 체험한 대중문화가 있다.

이 작품은 그 이미지를 이용해 만들었다. 이 작품의 등장인물(동물이 아닌) 자들은 모두 실제로 존재했거나 대중작품으로 존재했거나 작품 속의 유형들이다. 이 작품의 배경과 등장인물의 행동목적은 H. P. 러브크래프트의 작품군의 배경과 주제를 바탕으로 후세 작가들이 재구성한 '크툴루 신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쉽게 말해, 이 작품은 캔버스도 오브젝트도 다 미국인의 기억 속에 있는 이미지들이다. 문체도 엄밀히 말하면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그럼 단순히 패러디물인가?

나는 아니라고 본다.

이 작품의 힘은, 이러한 인물들과 동물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비틀고 은폐하고 암시해서, 기억을 자극하게 하고, 이들이 살아 있는 것 처럼 말하고 행동하게 만들고, 마치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사건처럼 느끼게 하는 임장감이다.

그렇다. 이 소설은 읽는 순간 임장감(Reality)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

너무도 당연하게 말하고 행동하고 느끼고 상황과 상호작용한다. 한 때 범람했던 유행하는 영화의 장면들을 잔뜩 모아 잡탕으로 만든 (무섭지 않은 '무서운 영화'라던가) 싸구려 패러디 영화랑은 그 질이 다르다.

패러디에 기대고 있는 작품이 단순히 패러디를 위한 패러디가 되면, 아무런 내용도 없는 껍데기로 전락하거나 아는 사람만 아는 작품이 되어버린다. 단순한 조건반사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이 작품은 다르다. 어디까지 레퍼런스는 레퍼런스. 여기에 기대지 않는다. 독자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

 


           3) 결론.
봐라.

그게 결론이다.

이 작품은 절대 읽고 손해볼 작품이 아니다. 오히려 이 작품을 통해 수면 아래에 감추어진 레퍼런스에 대해서도 알고 싶어질 것이다. 이 이야기는 잠재력이 있다. 이 잠재력의 근원에는 근대 이후 100년 간의 대중문화라는 서사적 흐름이 있다.

그 흐름 위로 한번 올라 타 봐보길 권유한다.

재미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