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격담, UFO는 어디서 오는가 크로스로드 SF컬렉션 4
이영수(듀나) 외 지음 / 사이언티카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목격담, UFO는 어디서 오는가

이 책은 사서 읽을 만한가?

이 질문에서 글쎄, 하고 고민하는 사람들이 가지는 고민중 크게는 SF = 공상과학소설 = 어렵고 황당무계한 것 이라는 (어쩌면 그릇된) 인상이 크게 자리잡고 있을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 사실 할 말이 많지만, 너무너무 많지만, 각설생략하겠습니다.

'오해에요. 그렇지 않습니다. 읽으세요'입니다.

한국의 SF는 오히려 너무 '우리나라의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한 것이 탈이다!' 하는 게 제 입장입니다만 여기서는 일단 이야기하지 않겠습니다.

이 작품집의 단편들이 사회적 현실의 은유와 반영이 많으며, 과학적 사실을 몰라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작품들입니다.

가장 큰 특징들로 제가 느낀 것은 '자의식'과 '현실 반영'이었습니다. 이런 면 때문에 SF적인 요소는 배경이나 장치로만, 혹은 아이디어 정도로만 한정되어, 어설프게나마 꾼인 저 같은 사람들은 조금 아쉬운 점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저는 이런 SF로서의 요소를 확실히 밟고 있는 작품은 듀나의 <수련의 아이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SF적인 장치와 배경을 공유하는 또 다른 장르 소설의 형태를 보이게 합니다. SF 사회파 미스터리 소설, SF 밀리터리 소설, SF 심리 소설, SF 테크노 스릴러(는 조금 이상하군요.) 등등.

오히려 이런 특징이 접근성을 높이고 경직되기 쉬운 장르 소설의 활력을 준다는 점도 밝히고 싶군요.

SF에서는 1인칭이, 우리나라나 일본의 문단소설 만큼 자주 쓰이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설명해야 할 정보가 많아서 1인칭에는 제약이 있기 때문 입니다. 그러나 이 단편집에는 1인칭 시점을 선택한 작품이 많았습니다. 이는 일본에서도 주로 보이는 현상인데, 츠츠이 야스타카를 비롯한 일본SF 작가 중에는 1인칭이 많이 쓰는 작가가 많습니다. 과학적 사실 보다 기괴한 배경과 상황을 이용해 은유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작품이 많습니다. 이는 이 단편집에서도 두드러지는 특징들이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가에 대해서 제 생각을 조금 적자면, 자아나 내면을 사생하고 묘사하는 것이 예술이라고 생각하는 기존의 문학적 전통에 더해, 일본의 경우에는 일본의 자연주의 문학(사소설)의 전통이 거기에 더해져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츠츠이 야스타카가 순수 소설을 쓰는 문학자로서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나 싶군요. 우리나라의 경우, 순수-참여 문학 논쟁 때 부터 이런 문제가 대두되어 오지 않았나 싶은데 자세한 논의는 제가 문외한인 고로 생략하고자 합니다.

아쉬운 점을 조금 적자면, 작품들 중에 몇몇은 설명이나 정보가 조금 과도하게 설명되거나, 혹은 효과적이지 못한 부분이 있었고, 조금 드라마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많아 번쇄한 경향이 있었습니다. 약간은 작위적인 장치도 있었고요. 이런 부분 때문에 SF적인 면이 효과적으로 녹아들지 못해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전체적으로 사회적, 종교적 은유나 사고실험이 돋보이는 작품군이 많았습니다. 절대 '공상' 과학소설은 아니라고 강조하고 싶군요. 낭만주의적인 자세가 옅보이는 작품도 많아 페이소스가 강조되는 면도 돋보였습니다. 아련한 느낌이 남는 작품들이 많습니다. 어떤 작품들인지는 직접 읽어보시면서 찾아보시길.

뱀발입니다만, <우주와 그녀와 나>는 존 C. 릴리 박사의 ECCO를 떠올리게 하는 소재가 있더군요. 기를 소재로 한 외계문명과의 관계를 미시적인 시점에서 다루고 있으니 일독을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