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 살려! - 우리문화 이야기 - 마을과 집안을 지키는 신 노란돼지 창작그림책 12
무돌 글.그림 / 노란돼지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돌'이라는 작가의 책을 몇권 본 적이 있다.

하나 같이 우리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참으로 잘 담아내고 있는 책들이었다.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이 우리와 너무도 닮은 모습인데다

그 안에 등장하는 배경들이 우리의 옛모습과 전통, 고유문양 등을 가득 담고 있어서...

매번 참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아이에게 애써 "이것이 우리 문화다!" 라고 하나하나 가르치지 않아도

책에 나온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읽다 보면 자연스레 느낄 수 있을거라고 생각되었기에!!

 

이번에 읽게 된 [도깨비 살려!] 역시 '우리 문화이야기-마을과 집안을 지키는 신'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아이에게 다소 어렵고,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이러한 것들을

얼마나 재미있게, 얼마나 자연스럽게 녹여냈을지 정말 기대가 된다.

 


 

이야기는 도깨비의 탄생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된다.

버려진 지 100년이 지난 낡은 사기에서 눈과 입이 생기고,

털이 자라나면서 도깨비가 된다는 설정...

정말 기발하고, 신선하다.

지금까지 도깨비 얘기는 무수히 들어봤지만,

도깨비가 어떻게 태어나게 됐는지에 대한 상상은 한번도 해본 적이 없는데...

ㅎㅎ...다시 생각해봐도 참 재미있는 상상력이다. ㅋㅋㅋ



 

 


 

깨지고 낡아 버려진 사기그릇이 변해서 된 도깨비!!

심술을 잘 부려서 사람들이 싫어하는 도깨비가 어느 날 마을에 내려가게 된다.

마을에 다다를 무렵, 커다란 당산나무 할머니가 도깨비를 불러 가지 말라고 말하지만,

도깨비는 들은 척도 안한다.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아서 늘 온갖 음식을 해서 바치는 당산나무 할머니는

절대로 도깨비의 마음을 알리 없다고 생각했기에!!

솟대들과 장승아저씨도 당장 돌아가라고 소리쳤지만,

아침이 되어 사기그릇으로 변한 도깨비는 결국 한 여자아이의 손에 들려 마을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여자아이는 사기그릇을 부엌 찬장 밑에 숨겨두게 되고,

밤이 되어 다시 도깨비로 변하자 가장 좋아하는 메밀묵을 찾아 부엌을 뒤진다.

그때, 부엌 지킴이 조왕 아줌마가 나타나서 부엌에서 뛰쳐나오게 되고,

그렇게 도망나온 마당에서 집의 땅을 지키는 터줏대감을 만나 또다시 도망을 치게 된다.

집 안으로 잽싸게 도망친 도깨비!!

하지만, 잠을 자고 있는 여자아이 앞에 아이를 돌보는 삼신할매가 나타나 마루로 쫓아내고,

마루에서는 또 지킴이들의 대장 성주대감이 나타나서 큰소리를 친다.

광에는 업신, 뒤뜰에는 철융, 외양간에는 우마, 화장실에는 측, 대문에는 수문신!!

집안 곳곳, 가는 곳마다 그곳을 지키는 신들이 나타나 도깨비를 정신없이 몰아치고, 혼쭐을 내는데...

결국 도깨비는 산으로 냅다 도망을 치게 되고, 다시는 사람들이 사는 마을에 내려가지 않겠다고

다짐을 하게 된다.

 

 


 

 

이 책은 한마디로 심술꾸러기 도깨비의 마을수난기다!! ㅋㅋㅋ

이곳저곳에서 혼나고, 쫓겨다니는 도깨비의 모습이 익살스러우면서도 통쾌하고,

재미나면서도 불쌍해보인다.

내용도 재미있지만, 무엇보다 인상적인건 책장을 넘길때 마다 배경으로 펼쳐지는 우리의 옛 생활모습들!!

기와집, 외양간, 장독대, 한복 등의 기본적인 생활모습은 물론

부엌안에 있는 아궁이, 솥, 멧돌, 조롱박...

안방에 있는 도자기, 이불, 자개장, 방석...

장독대 항아리에 새끼줄에 매달린 고추까지...

작은 생활도구들까지 세세하게 표현한 것이 놀라웠다.

한복이나 기타 곳곳에 등장하는 우리의 고유문양까지!!

이 책은 정말 우리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보여주려고 노력한 흔적이 곳곳에 보인다.

어렵고, 복잡한 신들의 이름을 기억할 필요는 당연히 없겠지만,

아이가 책을 읽으면서 예전에 우리 조상들이 살았던 모습을 엿볼 수 있고,

그 안에서 삶의 지혜를 느낄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또 한가지...무섭게 생각했던 도깨비를 이 책을 통해 재미있게 생각하게 되었다는게

소득일 수도 있겠다.

이제 말 안들을 때 "도깨비가 잡아간다"는 으름장은 통하지 않을 듯~ㅋㅋㅋ

집안 곳곳을 지키는 지킴이 신들처럼...이 책도 우리 문화 지킴이 그림책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