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로운 사회를 여는 희망의 조건 ㅣ 새사연 신서 3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지음 / 시대의창 / 2008년 3월
평점 :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에서 새로 나온 책이다.
<새로운 사회를 여는 상상력>의 2탄이라고 할까? 새사상이 대략적인 큰 틀로 우리가 만들 세상의 밑그림을 그렸다면, 이 책은 대안주체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노동자, 농민, 학생, 자영업자까지... 신자유주의 정책 속에 극단으로 몰리고 있다. 국민 대다수가 신자유주의를 넘어 새로운 세상을 열어야 한다는 이해관계를 같이 하고 있는데, 왜 그 힘은 커지지 않는 것일까.
일단 책은 각 주체들이 서 있는 객관 토대를 과학적으로 분석한다. 산업별 현황은 어떻고, 소득 수준은 어떠하며, 양극화된 사회의 어느 즈음에 서 있는가.
독자가 노동자라면 농민, 학생, 자영업자에 대해, 농민이라면 또 다른 이들에 대해 이해의 폭을 한층 넓힐 수 있다. 읽다 보면 동질감도 형성되고, 다들 너무 어렵게 사는구나 싶다. 자료가치도 충분하다.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어떤 저항을 만들어 가야 할 것인가.
노동자들에게 얘기하는 것은 - 자본가라고 하지만 실제 노동자의 처지와 다를 바 없는 영세자본가들, 영세 상인들에 대한 시각을 바꾸라는 것이다. 중소기업이 살아나는 것에 이해관계를 같이 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주자본주의에 편승하는 스톡옵션이라든가, 노동자들의 삶도 양단되는 대기업-중소영세기업의 격차에 대해 고민해 보라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농민들에게 - 지금까지 농민운동이 <소수 농민을 위해 농업을 살리느냐, 제조업 상품을 팔아 먹느냐>의 말도 안되는 대치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소수화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농업은 전국민의 이해관계가 걸린 문제다. 특히 전세계적 식량대란이 예고되는 상황에서, 유전자 조작 등으로 친환경 지역 농업의 필요성이 더 크지는 상황에서.. 다수화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학생운동이 학생 주체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밖으로만 눈을 돌릴 수 없다고도 한다. 이미 학교안까지 깊숙히 들어와 있는 신자유주의, 졸업을 하면 빚더미에 올라앉아 있고 실업자가 되는 처지에서.. 등록금 문제, 청년 실업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선차적인 과제로 둬야 한다. 그리고 같은 고통을 안고 있는 노동자 농민과 연대해야 한다.
새로운 사회로 열고 싶은 사람이라면, 고민해봄직한 여러가지 문제의식을 던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