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나의 집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서로 최선을 다해 존재함으로써 사랑할 수 있는 것이다. 
 
엄마가 내가 준 사랑의 열쇠는 바로 이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 자신을 사랑할 수 있게 해준 것 말이다. 엄마는 내게 그 열쇠로 세상의 문을 열라고 말했다. 

 쉽게 이해하고 용서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말라구. 그건 미움보다 더 나빠. 진실이 스스로를 드러낼 시간을 자꾸만 뒤로 미루어서 우리에게 진정한 용서를 빼앗아갈 수 있으니까.
 
   

 

책을 읽으면서 부모란 단지, 무조건적으로 믿어주고 사랑해주고 편들어주는 사람이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서 자신에 대한 믿음, 자신에 대한 사랑으로 세상을 대면할 수 있게 해 주는 것.
그럴 때 의존적이지 않는 사랑을 할 수 잇는 것. 누군가를 사랑해야 행복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 아니 저 사람하고 있어야만 행복하겠다고 느끼는 사랑은 아주 위태로운 사랑이라는 것.... 책 속에서 제일 마음에 들었던 문장처럼..

"우리는 서로 최선을 다해 존재함으로써 사랑할 수 있는 것이다. "

추석 연휴, 공부해야 할 것들을 뒤로 젖혀놓고 소설책을 읽었다.

사실 공지영의 소설을 썩 좋아하지는 않는다. 이 책도 처음엔 문장들이 낱알처럼 떠다녀서 속도를 내기가 힘들었다. 밥으로 치자면 안남미 같다고 할까 (사실 안남미를 먹어보지는 못했다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을 읽을 때는 스토리만 있고 캐릭터가 없다고 궁시렁거렸던 기억이 난다. 도통 주인공들에 몰입할 수 없었다.
그러나 우행시에 대해, 그 속에 담겨 있던 단 한가지 때문에 좋은 책이라고 생각했듯이 <즐거운 나의 집> 또한 그 나름의 찐한 장점이 있어, 누군가가 읽을 만한 책이냐고 묻는다면, 그렇다고 답하겠다. 

책은 엄마와 딸, 이 두 사람의 상처와 상처를 받아들이고 치유(?)하는 과정,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과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에 대해 말한다.

나는 엄마의 상처와 깨달음보다, 딸의 그것에 대해 더 공감이 갔다. 내 살아온 시간이 아직은 딸에 가깝기 때문일 것이다.  딸 위녕이 아빠와 새엄마를 찾아가 켜켜이 쌓아두었던 분노와 억울함을 토해내는 장면, 아들 둥빈이 자신을 모욕한 아이를 패고-어떤 모욕을 당했는지 말하지 못하던 장면... 이 아이들의 억울함 앞에서 눈물이 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