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에 가자! - 이야기로 만나는 한글 세상 궁금해요 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지음 / 시공주니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배우는 소중한 우리글, 한글의 모든것!

 

"엄마 한글박물관이라는 곳이 있어?"
데이지양이 이 책을 처음 보자마자 물어보는 말입니다..
"응! 우리 국립중앙박물관에 자주 가자나~ 거기 바로 옆에 있대!"
저도 사실 한글박물관이 있다는걸 알게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체험학습을 한달에 한번씩 방문하고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바로 옆에 있다는 사실에
무척 놀랐답니다...자주 오는 곳인데 왜 몰랐을까!!!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2014년 10월 9일 한글날 문을 열었답니다.
한글이 만들어지기 이전의 문자 생활과 함께
세종 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후 한글이 쓰이고 있는 오늘날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요.

[이야기로 만나는 한글 세상: 국립한글박물관에 가자!]
국립한글박물관의 상설 도록 ‘한글이 걸어온 길’을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한 책이랍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드신 후 750여 년 동안 한글이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 소개하고 있지요.

 

한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국립한글박물관에 찾아온 ‘한글 바라기’라는 모둠의 친구들이
신령한 힘을 가진 학예사 선생님을 만나 과거와 현재를 여행하면서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우리 문화를 조사하는 숙제를 하게된 누리, 나로, 대한, 고운이 모둠은
세종대왕이 만드신 한글, 훈민정음에 대해 알아보기로 의견을 모으고
국립한글박물관에서 한글을 조사하기로 하였답니다.

국립 문자 박물관은 전 세계에 딱 2개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우리나라에 있는 국립한글박물관이라는 내용을 보니 이렇게 중요한 곳을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 좀 부끄럽기도 하고
한글박물관이 어떤 곳인지 참 궁금해졌습니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전시설명을 해주실 학예사 선생님을 만난 아이들은
신비한 분위기의 학예사 선생님과 함께 과거와 현재를 여행하며
한글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발전하여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생생하게 체험하게 됩니다.

자칫 딱딱하고 지루할 수 있는 박물관 이야기인데
이런 시간여행이라는 재미있는 소재를 넣어 책 속 이야기에 더 몰입할 수 있더라구여
책을 읽으면서도 뒷 이야기가 너무 궁금해집니다


학예사 선생님 손을 잡고 과거로 떠난 아이들은
글을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고도 바로잡지 못하는 백성들을 위해
세종대왕께서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모든 백성이 편히 읽고 쓸 수 있는 문자를 만들고자 하는 것을 직접 보게 되었답니다.
이 책에서는 주인공과 함께 시간여행을 하듯이
책 속 내용을 QR코드를 통해 영상으로 생생하게 볼 수 있답니다.

책을 읽으며 한글창제에 대한 내용에 푹 빠진 데이지.
QR코드로 영상을 보더니 막연히 한글을 만드신 대단하신분으로 생각했던 세종대왕님이
정말 존경스럽고 멋있다고 영상을 보며 감동받은 이야기를 마구 들려주었답니다.


한글의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어졌답니다.

<ㄱ>은 어금닛소리,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뜻 것
<ㄴ>은 입술소리, 입의 모양을 본뜬 것
<ㅅ>은 잇소리, 이의 모양을 본뜬 것
<ㅇ>은 목구멍소리, 목구멍의 모양을 본뜬 것

이처럼 세종대왕은 오랜 연구끝에 소리가 어떤 과정을 통해 나오는지 알게되었고,
 그 차이에 따라 닿소리와 홀소리로 구분을 하였답니다.
닿소리는 자음, 초성과 종성으로 쓰이고, 홀소리는 모음, 중성으로 쓰이지요.


또 세종대왕님은 우주의 모든 소리를 담을 수 있는 문자를 만들고 싶어서
우주안에 어울려 있는 사람, 하늘, 땅을 모음에 담게 되었답니다.
<ㅣ>는 서있는 사람
<ㅡ>는 평평한 땅
<ㆍ>는 하늘을 표현하는 커다란 동그라미를 줄여 점으로 나타내게 된 것
이랍니다

이렇게 세가지를 정하고 점을 위아래나 양옆으로 하나나 두개씩 찍어서
나머지 모음도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이렇듯 세종대왕의 높은 학식과 소리에 대한 관심이 훈민정음 창제의 밑거름이 되었답니다.


하지만 한글창제의 길은 순탄치 않았답니다.

훈민정음을 만드는 대 뜻을 같이 했던 '최만리'같은 신하들이
말을 바꾸어 한글창제를 반대하였기 때문이랍니다.
그 당시 시대 상황으로 보았을때 중국을 섬기는 나라였던 조선은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했고, 지금까지 한잠나 공부했던 사대부들의 입장에서
갑자기 등장한 훈민정음이 반가울 수 만은 없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한글창제를 반대하는 상소문을 올린 최만리의 글에서는
훈민정음이 어떻게 창제되었는지와 어떤 문자인지가 잘 들어나 있답니다.
말과 글이 일치하는 글자인 훈민정음. 언문(한글)을 익히면 한자공부를 게을리 하게 될 것이라는
글에서는 훈민정음이 얼마나 쉽고 좋은 문자인지 알려주는 말이지요

덕분에 이후 <훈민정음 해례본>이 나오게 되고
이로서 한글은 세계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만든사람과 반포일,
그리고 글자를 만든 원리까지 알수 있는 문자가 되었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한글의 원리를 담은 세계 최고, 최초의 책이지요.


이후 한글은 생활 곳곳에서 쓰이게 되었습니다. 한문으로 쓰여진 책들을 훈민정음으로 번역하여 쉽게 읽고 중국어,몽골어 등의 외국어 학습서나 실용지식, 종교책등도 한글로 쓰여지게 되었답니다.
조금씩 생활속에 자리잡아가던 한글은
1894년 갑오개혁이 일어나고 나서야 한문을 밀어내고 조선의 국문이 되었답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꼭 450년 만에 우리나라의 공식 문자로 제대로 자리잡게 된 것이지요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조선어'라 불리게 되며 일본어에게 잠시 국문의 자리를 내어주고
우리말을 쓰는것도, 한글을 배우는 것도 금지되었지만
훌륭한 독립운동가들과 조선어학회 국어학자들이 한글을 지키기 위해
모진고문을 받고 목숨을 잃기도 했다는 것은 역사책을 통해 본적이 있어서
데이지양도 잘 알고 있었답니다.


우리의 문화와 정신이 담겨있는 긴 역사를 가진 한글
한글을 소중히 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역사와 전통을 사랑하는 일이겠지요
오랜시간을 버티고 발전하며 오늘에 이른 한글을 결코 가볍게 여기지 말아야 겠습니다
데이지양도 TV 개그프로에서 뜻을 알수없는 말도안되는 말을 하는 것을 보고 마냥 재밌어 했었는데
이젠 그런말은 따라하지도 말고 쓰지말아야 겠다고 이야기하네요

 

다음달에도 체험학습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갈 예정인데
그날은 꼭 일찍 출발해서 데이지양과 함께 국립한글박물관도 관람해봐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