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건너는 집 특서 청소년문학 17
김하연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온 환경과 성격이 너무나 다른 4명의 청소년들. 그리고 그들이 같은 하얀 운동화를 통해서 만난다. 이러한 만남을 위한 집은 바로 '시간의 집'. 이 집은 등장인물들에게 제공된 하얀 운동화만 신어야 눈에 보이고, 출입이 가능한 집이다. 어떻게 4명이 선택되었는지는 등장인물들도 알 수 없지만, 오직 시간의 집에서 제공하는 규칙을 따라야만 1231일 오후 5시에 소원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과거, 현재, 미래의 문을 열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소설의 간단한 줄거리와 구성은 이렇다.

 

등장인물들은 모두 각자 삶의 과제를 가지고 있고, 각자 이런 저런 소원이 있다. 그리고 현재 현실을 떠나고 싶어 하기도 하고, 과거로 돌아가고 싶어 하기도 하며, 미래로 미리 가버리고 싶어 하기도 하다. 그런데 이를 위해서는 시간이 집이 정한 규칙에 의한 시간을 채워야 하고, 그 시간 속에서 4명의 등장인물은 친밀감도 생기고, 묘한 긴장감과 갈등도 체험한다.

 

중요한 것은 이 과정을 통해서 등장인물들은 친밀감뿐만 아니라, 자신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타인도 바라볼 수 있는 시야가 넓어지며, 세상이 만만치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만한 곳임을 체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 존재하는 시간의 집은 등장인물들을 변화시키고 힐링 시키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소설은 청소년들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가정에서의 아픔과 상처, 학교에서의 왕따 문화, 그리고 각자가 삶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 노력하는 고민과 갈등 등등, 다양한 청소년들의 문제를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들도 언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학교폭력 피해자가 가해자를 피해서 살아야 하는 것이나, 가해자의 입장에서 피해자가 더 많이 배려해야 하는 등의 문제를 짧게나마 언급하고 있다.

 

, 현재의 청소년들이 겪는 삶의 현상뿐만 아니라, 그 뒤에 숨어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들에 대해서도 일부분 언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작가의 접근이 깊게 파고들지 않은 것은 아쉬운 대목이기는 하지만, 청소년뿐만 아니라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이 이 책을 본다면, 이미 어느 정도는 알고 있는 청소년들의 고민에 대해서 생각해 볼 포인트는 될 수 있는 책이라고 본다.

 

끝으로 소설의 구조는 매우 명쾌하다. 등장인물들에게 가질 수 있는 독자들의 궁금증에 대해서는, 비교적 결말로 올수록 명료함을 주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이 가질 수 있는 섬세한 심리적 역동에 대한 묘사는 조금 아쉬움으로 남는다. 혹 청소년 자녀들을 둔 부모의 경우, 이 책을 일독해 보길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