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을 나온 암탉 (반양장) - 아동용 사계절 아동문고 40
황선미 지음, 김환영 그림 / 사계절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 계장 속의 암탉, 잎싹은 자신이 낳은 알마다 주인이 가져가버리는 바람에 그 알에서 깨어나는 병아리를 보는 것이 소망이다. 그래서 항상 꽃을 낳는 잎사귀가 부러워 자신 스스로 '잎싹'이라는 이름을 지었던 것이었다. 간절한 소망을 가진 잎싹은 먹이를 안 먹어 마르게 되고 결국, 폐계가 되어 양계장을 벗어난다. 폐계가 된 잎싹은 산 채로 암탉을 잡아먹은 족제비의 먹잇감이 될 위험에 처하지만 잎싹이 사는 양계장 밖 마당에 살던 청둥오리 나그네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살아난다. 그 후 나그네는 여러 가지로 잎싹을 돕지만 어느날 갑자기 뽀얀 오리와 짝짓기를 한 후 인사 한마디 없이 사라졌다.  떠돌이에 외톨이까지 된 잎싹은 우연히 알을 발견한다. 잎싹은 알을 품는 어미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온 힘을 다해 품기 시작한다. 품고 있는 도중, 말없이 떠났던 청둥오리가 갑자기 나타났다. 그런데 짝짓기를 했던 뽀얀 오리가 곁에 없었고 오른쪽 날개마저 다쳐있었다. 청둥오리는 그 때부터 알을 품는 잎싹을 위해 물고기도 잡아주며 도와주었다. 그리고 밤이면 높은 곳에 올라가 날개를 들썩이며 춤을 추었다. 막 알이 부화될 무렵, 안타깝게도 청둥오리는 족제비에게 습격을 받지만 아무런 저항 없이 조용히 족제비의 먹이로 죽어버린다.  이윽고, 알이 깨었고 잎싹은 태어난 아기와 마당에 찾아간다. 그런데, 충격적인 소식을 듣게 된다. 바로 그 아기가 병아리가 아닌 오리였던 것이다. 그러나, 오리라는 걸 알고도 잎싹은 야생오리로 키우며 초록머리라 부른다. 시간이 지나 잎싹 보다 더 커버린 초록머리는 자신의 무리들과 다닌다. 그리고 청둥오리의 습성으로 떼를 지어 어쩔 수 없이 멀리 떠나는 바람에 기약 없는 이별을 하게 된다.

초록머리를 그리워하는 잎싹. 그러나 결국 족제비에게 물려 죽게 되고, 하늘을 날게 된다.

 

내 가 이 책을 읽게 된 동기는 누군가의 소개가 아니다. 유명해서가 아니다. 바로 이 책을 쓴 황선미 작가 때문이다. 황선미 작가 쓴 책을 주로 읽었던 나는 항상 다양한 시각으로 그려지는 황선미 작가의 글을 읽고 많을 것을 느끼곤 하였다. 그리고 읽은 이 '마당을 나온 암탉'도 이런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나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었다.

 

나는 평소 양계장의 암탉들을 안타깝게 생각해왔다. 자신의 알이 무엇에 쓰이는 지, 자신은 무슨 일을 하고 있는 지조차 모르면서 그저 좁디좁은 양계장 안에서 알만 낳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잎싹은 달랐다. 적어도 자신이 누구이고, 자신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 지 알고 있었다. 그리고 자신이 왜 이런 일을 하고 있는 지 의문을 품었고, 결국 양계장을 나왔다. 잎싹에게 바깥세상보다 양계장이 훨씬 안전하고 편할 것이다. 먹이도 제때 주고 다른 동물들의 위협 없이 편안히 잠을 취할 수도 있었으니. 그러나, 정작 마음은 전혀 행복하지 않았고 잎싹도 나오기 전 많은 고민을 했으리라. 그런데 그녀는 위험하지만 자신에게 자유를 선사해줄 바깥세상으로 나왔다.

 

이 모습은 현실에서도 전혀 낯설지 않다. 이 하늘 아래, 자신의 자아도 찾지 못한 채 기계적으로 하루하루를 보내는 이들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그 중에는 비로소 깨닫고 자신을 찾은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곧 자신의 삶을 직접 설계하고 살아갈 것이다. 작가는 내가 누구인지, 내가 어떤 삶을 살아갈 것 인지 직접 자신이 설계하고 깨달아가길 바라는 메시지를 이 책 속에 담았다. 이 책의 독자 연령대는 10대지만 10대에게 이런 철학적 메시지를 자연스럽게 이야기한 작가가 존경스럽다.

 

이 큰 이야기 속에서 또 세세하게 그려진 것이 있다. 바로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이다. 천둥오리는 알을 품고 있는 잎싹을 위해 먹이도 구해줬으며 밤에 높은 곳에 올라가 춤을 추었다. 또, 족제비의 습격에 아무런 저항 없이 조용히 물려 죽었다. 밤에 높은 곳에 올라가 춤을 춘 까닭은 자신의 몸을 최대한 크게 하여 다른 동물에게 겁을 주고 알과 잎싹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함이었으며 족제비의 공격에도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은 까닭은 곧 태어날 아가의 안전을 위해 자신의 희생으로 족제비를 일부러 배부르게 한 것이었다. 또, 천둥오리가 다시 나타났을 때 뽀얀오리가 없었던 것은 족제비의 습격을 받아 죽었던 것이며 천둥오리 또한 싸우다가 오른쪽 날개를 다친 것이였다.

 

처음에는 천둥오리의 행동이 이해가지 않았는데, 나중에 천둥오리가 떠난 후에야 알게 된 것이 너무나 안타깝다. 또, 아내를 잃고 자신의 몸까지 다쳐가며 알을 위해 희생한 것이 정말 아름답다. 그리고 천둥오리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초록머리를 그리워하다 족제비에게 죽어서 하늘을 날게 된 잎싹의 혼을 보며 애절함을 느꼈다.

 

이것이, 죽음과 이별도 갈라낼 수 없는 ‘부모와 자식간의 사랑’이라는 것을 잘 깨닫게 되었다. 조금은 하기 어렵고, 자칫 이해하기 어렵다며 외면 받을 수 있었던 주제들을 잘 풀어낸 ‘마당을 나온 암탉’. 슬픔과 행복이 공존되어있는 잎싹의 삶.

 

황선미 작가께서 앞으로도 좋은 글을 많이 써주시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