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가 있는 아침
김남조 외 지음, 이경철 엮음 / 책만드는집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시가 있는 아침'. 낯익은 책제목이다 싶었는데 내가 구독하고 있는 '중앙일보'에 매일매일 한편씩 연재되고 있었다.
그런데도 나는 그냥 넘기는 경우가 허다했는데 논리적으로 적힌 정치판과 사회이슈에 대한 막강한 자기주장글들 한 켠에
자리잡고 있어 그 글들을 읽고 있자면 가슴으로 느껴야할 시를 볼 겨를이 없었다.
그런데 그 조각조각들이 묶여 한권의 책으로 나왔다니!
사실 이 책을 받으면서 신문 보며 그냥 넘기던 내가 될까봐 걱정했었는데
딱 몇 장을 넘기고 보니 이거. 정말 아름답게 , 시답게 탄생한 책이었다.
평범한 모습을 담은 것같으면서도 시와 딱 어울리는 사진들이
함께 있어 시를 더욱 돋보이게 해주고 그 옆의 저자의 설명이 시를 읽을 때
알지 못했던 느낌들을 살려주었다.
몇 줄 짧은 저자의 설명이 나에게 크게 다가왔던 이유는
학교 국어시간 시가 마치 로봇이 되어 부품하나하나 분해하듯
단어 하나하나, 연 하나하나 분해되어
이것은 어떤 구조니, 이것은 반복되는 말이라 운율을 살린거라니
하는 '시험을 잘 보기 위한' 설명만을 듣다가 읽은거라서 그런가보다.
아, 제목도 참 맘에 든다.
시가 있는 아침. 사실 나는 아침 학교등교하기전까지 시간이 아주 빠듯하다.
그렇게 시간에 딱딱 맞추어 기계적으로 등교준비를 하고 학교에 등교하며 '나만의' 아침을 마친다.
학생이라면 그럴것이고 직장인이라면 더 빠듯할것이다.
그럴 때 시는 어떨까? 쳇바퀴같은 일상을 시작하기 전 오늘 무슨 일이 벌어질까는 기대도 안되는
아침을 보내는 난 아침에 조금 짬을 내어 시를 읽은것이 꽤 색다르게 다가왔다.
나의 아침에 시가 있든 없든 나의 하루는 똑같겠지만 그런 하루를 시작하는 나의 맘은 조금 달랐다.
그냥 딱딱했던 마음이 시를 통해 감탄하고 생각하면서 좀 부드러워졌다고 하면 오버일까?
암튼, 첫 시집이었던 이 책은
나에게 '아 이래서 시집을 읽는구나' 란 생각을 가져다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