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ton 뉴턴 2017.2
뉴턴 편집부 지음 / 아이뉴턴(월간지) / 2017년 1월
평점 :
품절


(과학잡지/사이언스/과학탐구/생명과학/빛의양자론/우주과학/과학기술/과학실험/과학잡지뉴턴)뉴턴2월호

 

 

 

빛의 정체는 입자일까, 파동일까?

아인슈타인도 고민한 불가사의한 빛의 세계

 

 

 

과학잡지/사이언스/과학탐구/생명과학/빛의양자론/우주과학/과학기술/과학실험/과학잡지뉴턴

FOCUS-면역학

'내장 지받형 비만은 면역 세포를 노화시킨다.​'

작년에 건강 검진을 했는데 복부지방이라고 하더라구요.

헌데 내장 지방형 미만도 있더라구요.

T세포가 지방 조직에 대량으로 존재하여 노화를 시킨다고 합니다.

아직 치료법은 개발중이라고 하네요. 역시 몸관리 해야할 거 같아요.

FOCUS-행성과학

'명왕성의 지하에 바다가 존재한다!?​'

명왕성은 행성에서 빠졌다고 하던데 연구는 계속되고 있나봐요.

2014년 7월 14일에 NASA(미국항공우주국)의

탐산선 '뉴 허라이즌스'가 가장 가가이 접근하여 관찰했다고 합니다.

물이 있다면 사람이 살아갈 수 있을까요.​


 
과학잡지/사이언스/과학탐구/생명과학/빛의양자론/우주과학/과학기술/과학실험/과학잡지뉴턴

어제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서 촬영하였답니다.

아이들과 함께 행성에 대한 이야기도 들었답니다.

다른 곳에는 방문하면 명왕성이 안보이는데 여기는 있었답니다.

내일의 과학을 향해1- 차세대 연료의 열쇠는 '현지의 조류'

혹시 조류가 기름이 된다는 생각을 해보셨나요.

일본 후쿠시마 현 미나미소마 시에 있는 조류산업 창성컨소시엄의 생산 개발 하고 있다고 합니다.

몇해전 제가 살았던 지역에서 어떤분이 미세조류로 기름을 만든다고

그 조류를 키우는 연구를 하시는 분들을 들었답니다.

허왕되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연구를 하다니 정말 신기한데요.

온실가스도 없어지고 만들기만 한다면 정말 좋은 원료가 될 거 같아요.

- Newton Special의 빛의 양자론 -

​빛이란 아이작 뉴턴을 빛의 정체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입자'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같은 시기 물리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빛의 정체는 '파동'이라고 생각했데요.

​결론의 끝은 나지 않았어요.

1800년 부렵 토머스는 빛이 파동이라고 하고

 1905년 아인슈타인은 광양자 가설을 주장하였답니다.

뉴턴은 물체의 운동을 연구해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고

하위헌스는 특수한 망원경와 진자시계를  개발하고

파동의 운동을 설명하는 '하위헌스의 원리'를 발표 했다고 합니다.​

http://blog.naver.com/1122hwa/220930662512


 

 

 

과학잡지/사이언스/과학탐구/생명과학/빛의양자론/우주과학/과학기술/과학실험/과학잡지뉴턴

독후활동 명장면 그리기에서는 빛의 정체를 논쟁하는

하위헌스와 뉴턴을 그려보았답니다.​

4​학년 과학 교과과정에서 빛의 반사와 직진을 배웠다고 합니다.

뉴턴 2월호를 통해 빛의 정체에 대한 논쟁을 했다는 것도 알게되고

미세한 입자의 빛의 정체가 무엇인지,

빛의 굴절 : 빛은 물이나 유리 속으로 들어가거나 나올때를 굴절

빛의 반사 : 이상적인 공은 벽에 닿으면 같은 각도, 같은 속도로 다시 튀어나오는 것

빛의 직진 : 빛의 입자는 끝없이 직진하며, 장애물에 부딪치면 다시 튀어 나오거나 흡수된다.

그 결과 벽의 방해를 받아 빛의 입자가 도달할  수 없는 범위에는 뚜렷한 그림자가 생긴다. 랍니다.

 

 

 

<클릭하시면 http://www.newtonkorea.co.kr/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http://www.newtonkorea.co.kr/SrcWeb/MAIN/MAIN.aspx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