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단의 스캔들
홍지화 지음 / 작가와비평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 끌려서 보게 되었다. 엄밀히 말화면 주로 일제시대를 풍미했던 네 문인들의 애정 스캔들을 주제로 한 책이다. 이상, 김우진, 나혜석, 모윤석 네 문인의 간단한 일생 조감과 더불어 그들의 삶과 문학에 크게 영향을 끼친 이성과의 이야기를 풍부한 자료와 에피소드를 곁들여 풀어내고 있다. 당시 모던 보이, 모던 걸의 풀이 좁아서인지 한 시대를 풍미한 이들의 얽히고 설킨 교제도 흥미로웠다.

이상은 흔히 알려져 있던 기생 금홍이와의 애정사 외에 두 신여성과의 연애 -권순옥, 김향안-에 대해 알 수 있었다. 특히 이상과 단 4개월간의 결혼생활 후 사별로 끝나버린 김향안 여사의 두번째 남편 김환기 화백과의 로맨스도 흥미로웠다. 천재를 알아보고 뮤즈로서, 또 그의 작품활동을 돕고 정리한 공적이 있는 김향안 여사의 안목과 추진력이 탁월하다.

김우진은 집안의 장남으로서의 의무와 강압적인 아버지로 인해 극작가로서의 뜻을 펴지 못한 인물이었다. 그는 어린 시절 병석에서 일찍 돌아가셨던 친어머니와 새어머니들, 첫사랑인 일본인 간호사 후미코 등 자기 인생에서 중요한 여성들의 상실을 많이 겪었던 자로, 우리 나라 최초의 소프라노 성악가인 윤심덕과의 애정사로 인해 그 자신이 그만 동반자살하였다.책을 보기 전에는 이 둘의 동반자살이 그저 조강지처를 버릴 수 없었던 당시의 봉건적인 사회적 규율때문으로만 막연히 알고 있었는데, 사실은 극작가로서 성악가로서 자신들의 뜻을 펼 수 없었던 여러 가지 거대한 가정사적, 사회적 제약에 두 남녀가 무너진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혜석은 우리 나라 최초의 여류 서양화가 등, 최초라는 수식어가 여러 개 붙는 신여성이었다. 화가로서 작가로서 활약했으나 이광수가 주선한 모범적인 남편과의 결혼생활을 이어가던 중 그만 짧은 불륜과 함께 이혼당하고 사회에서 매장당해 결국엔 행려 병자로 숨진다. 나혜석이라는 인물은 당시 제창한 신정조론이라든지 언론에 올린 불륜 고백인 <이혼 고백장> 등은 오늘날 봐도 파격적이다. 특히 신혼여행지로 그녀가 직접 택한 곳은 첫사랑의 묘지였으니 할 말 다했다. 아무튼 나혜석을 좋아하던 남편은 무던히도 참고 살다 아내의 불륜이 세간에 퍼지자 이혼을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후의 아쉬웠던 부분은 이혼 이후에 주홍글씨처럼 낙인이 찍혀 본인의 작품활동에도 영향을 미쳐 경제적으로 궁핍하게 살고 신문에 솔직하게 투고하는 행위로 인해 가족들과도 의절당하고 사회에서 매장당했다는 점이다. 오늘날이었으면 좀 자중했다면 이혼은 이혼대로, 본인의 직업활동은 그대로 이어나갈 수 있지 않았을까 한다.

모윤숙은 일제 시기와 해방 이후의 시인 및 정치가로 활약했던 인물이다. 이승만의 정치도구였던 '낙랑클럽'의 리더로서 인도의 외무장관 메논과의 정신적 교류와 로맨스가 흥미로웠다. 기생 접대가 아닌 재색을 겸비한 엘리트 레이디들로 하여금 고위 외빈을 접객토록 하여 정권 창출을 도모했던 이승만과 그를 돕는 것이 마침 나라를 위한 것이라고 열심히 활동한 모윤숙. 그녀는 친일 행위로 인해 지탄도 받았지만, 우리 나라를 휘잡은 정권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변신을 잘 해 이 책의 여러 인물 중 천수를 누린 유일한 문학가다.

책 내용을 보면서 당시 결혼 세태도 흥미로웠다. 조혼의 풍습으로 고등교육을 받은 신여성들이 결혼할 만한 상대들은 이미 처자가 있는 경우가 많았고, 이들 남자가 이혼할 수 있는 경우 후처가 되든지 아니면 첩이 되는 선택지가 있었던 거 같다. 별도로 1930년경 조선 사회에서 이혼 건수는 연간 8천여 건이 넘었으며 인구 1천명당 평균 이혼율이 0.46%였다 하며, 당시 미국 1.6%, 프랑스 0.5%, 일본 0.8%였다고 한다. 이 가운데 가정을 굳건히 지키면서 본격적인 연애로 뛰어들지는 않지만 여러 여자들의 마음을 훔치며 오락가락했던 인물로 이광수가 조감되어 재미있었다. 이광수는 이 책의 메인 주인공은 아니지만, 여러 군데서 서브남주로 등장했다.

전체적으로 근대 개화기 시대의 신여성과 모던 보이들의 애정사를 줄거리로 한 에피소드들이 흥미로웠다. 다만 내용중에 겹치는 부분이 많았는데, 중언부언을 뺐더라면 책 내용이 좀더 응집감이 있었을 듯하다. 소소한 마춤법 오류도 몇 가지 눈에 띄어 아쉽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