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삶을 고치는 암 의사입니다
이병욱 지음 / 비타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인의 수명이 늘어가고 진단 기술이 발달하면서 암의 진단도 많아짐에 따라 암으로 투병하는 분들도 많아졌다. 어느 가정이나 가족이나 친척 중 암으로 돌아가신 분이 있을 것이다. 나또한 그랬기에 암에 대해 좀 관심도 있고 나 역시 오래 살게 되면 암에 걸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지금 암환자나 보호자여서가 아니라 언젠가 닥칠 수도 있을 일이라고 여겨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저자는 의사생활의 첫 15년간은 유능한 외과의사로서 수 천 건의 암환자 수술을 집도하였고 결과도 좋았지만, 메스가 만능이 아니라는 깨달음이 있어 이후의 15년간은 보완통합의학적 입장에서 면역항암요법가로서 임상진료를 해왔다고 한다. 
책 처음에 나를 포함해 암에 걸리지 않는 사람들이 예방에 대해 얻을 수 있는 가장 유용한 메세지가 있었다. 모든 사람들이 몸속에 암 작동 스위치를 안고 사는데 '굳어진 습관'(음식/불규칙한 습관/불평과 불만 같은 나쁜 감정)으로 인해 이 스위치가 작동하게 된다고 한다. 우리 몸은 총 70조~200조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강한 사람에게도 하루에 5천~1만개의 암세포가 생겨나는데 나머지 97~100%의 건강한 세포가 뒤에서 받쳐주기 때문에 얼마든지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고 한다. 초기에 수술로 완치 가능한 암이라면 수술을 해야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훨씬 많다. 암 극복에서 최상의 전략은 암과의 공존을 모색하면서 면역력을 키우는 것이라고 한다. 
책은 전체적으로 암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어떤 자세로 임할지 환자와 보호자 면에서 기술해 놓았다. 좋은 의사를 선택하는 방법, 환자들의 5기 건강법, 암을 이겨낸 사람들의 공통점, 몸만 고쳐서는 안 되고 전인적인 치료/관리가 필요하다다는 것, 면역치료에서의 원칙,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설명, 암에 대해서 하루 종일 생각하기 보다는 취미/봉사/신앙으로 뭔가 시간을 충만히 채울 수 있는 것을 찾으라는 것 등등이 나와 있다. 저자 역시 화병으로까지 갈 수 있었지만 그림 그리기를 통해 내면을 잘 다스리면서 변화할 수 있었다고 하며 환자들에게 예술 치료를 권한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암 치료 후에도 재발을 막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는 것도 암 환자가 명심해야 할 부분이다. 
전체적으로 따스한 분위기로 암환자와 보호자에게 실용적인 조언을 주는 책이었다. 환자가 아닌 사람들도 암을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지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