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Mr. Know 세계문학 45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 지음, 오종우 옮김 / 열린책들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가 구효서는 '깡통따개가 없는 마을'에서 
소설은 하찮은 것을 진지하게 만들고, 진지한 것을 하찮게 만든다고 말했다.  
  

체홉 단편의 평론가는 체홉의 소설을 

하찮음 속의 진실이라 말했다. 

나 또한 체홉의 단편을 읽으며, 그 말에 공감할 수 있었다.  

체홉의 소설을 읽어보면, 

대단한 미사여구나 기교가 아니라 섬세하고 정확한 문장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대가들은 문장의 기술이 아니라 문장의 유기성과 주제의식으로 승부하는 것 같다. 

그의 소설은 우리들의 일상에서 소재를 취한다.  

그것을 한줄로 요약하면 신문기사에도 오르지 못할 하찮은 일에 지나지 않지만 

체홉이 그것을 끌어내었을 땐, 그것이 우리에게 감동과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소설이 된다.  

그의 소설에는 여러가지 시선이 있다. 

소시민의 한심함, 인간의 어리석음, 사랑과 기억의 아련함, 소외된 자들에게 보내는 따뜻한 시선 등이 있다.  

그리고 소설이 아니라면 우리가 굳이 생각하지 않을 듯한 인물들이 나온다. 

나는 체홉의 날카로운 포착과 다양한 시선 그러나 인간애를 잃지 않는 따뜻한 마음이 좋다.  

 그의 소설을 읽으면서 소설이란 무엇일까 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인간을 이해하는 것, 타인에게 한 발 짝 더 들어가는 것이 소설이라면 

체홉의 작품은 소설이 무언지 제대로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