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공지영 지음 / 해냄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소명인 듯, 참 집요하게 오랫동안 바라본다. 마침내 빛날 때까지. 마침내 종이가 타오를 때까지, 검은 점을 응시하는 그녀의 볼록렌즈는 한 꺼풀씩 투명해진다. 용기가 필요한 솔직함이 있고, 비난하기 힘든 선함이 있다. 


「월춘 장구」

제목이 무슨 뜻일까 궁금해하면서 읽었다. 시어(詩語)럼 슬프고 아름다운 말이었다.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욕을 뱉어가며 억척스럽게 버티고 대들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걸까. 재미있고 으스스한 우화이자 분노와 비애가 섞인 도시괴담이다.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피는 중요할 수 있지만 결정적이지는 않다. 결정적인 것은 피보다 삶이다. 언제나 결정적인 것은 순간이다.


「부활 무렵」

산다는 건 참 고되구나. 그런 말 나는 제대로 모른다. 순례 같은 인간 앞에서는 언제나 고개 숙이고 무릎 꿇게 된다. 


「맨발로 글목을 돌다」

감히 다가설 수 없는 상처들의 언저리를 돌며 용감하게 길어 올리는 문장들. 후기에도 쓰여 있듯 그녀의 글은 곧 그녀 자신이 되어 일어서는 듯하다.


*그녀의 글이 어디로 갈지 궁금하다. 집요하게 되새김질하는 상흔이 보여줄 수 있는 것은 어디까지일까. 한 번도 느슨한 적 없고 간절하지 않은 적 없던 그녀의 문장이 석류 알 같은 빛이 되어 컴컴한 어둠 속을 걷는 사람들에게 구원이 되길 바란다.     

자신의 본질과 이질적인 것은 상흔을 남긴다. 그리고 그 상흔으로 인해, 그 이질적인 것을 받아들여야만 했던 아픔의 힘으로 우리는 생의 모퉁이를 돌기도 한다. 그것이 좋은 곳으로 가는 길인지 아닌지는 나는 아직도 모른다.
-17쪽,「월춘 장구」

내가 틀렸을 수도 있을 것이다. 소송을 하면 소송을 당하고 망신을 주려고 하면 가만히 서 있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다고 그 결과가 꼭 처음에 생각했던 그것은 아닐 거라는 것을 나는 이제 알게 되었다. 살자리가 죽을 자리가 되고 죽을 자리가 살자리가 된다. 내가 행복이라고 생각해서 모든 것을 버리고 움켜쥐었던 그것이 재앙이었으며 죽기를 각오하고 손을 놓자 오히려 상실은 나에게 자유와 평화를 가져다주었다. 처음부터 알고 있었던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돌아보며 단지 일이 그렇게 되었다고 말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40~41쪽,「월춘 장구」

"저 애에게 젖 한번 배불리 먹여준 적이 없습니다. 아침에 젖 먹이고 나가서 점심때 또 한 번 젖 주고 저녁에 밭에서 돌아오면 어린것이 울지도 않고 축 늘어져 있었습니다……. 갓난아기가 먹을 젖을 밭에다 짜 버리면서도 가슴이 아프지도 않았습니다. 나 힘든 생각에 저거 그냥 죽어버렸으면 솔직히 그런 생각도 했습니다……. 그렇게 자라서 그런지 키가 하도 작아서 저 애는 버스 탈 때 아직도 요금을 안 냅니다. 그러니 이대로 저 애를 보낼 수 없습니다. 당신도 에미였으니 제 심정 아실 거 아닙니까. 살려주세요, 제 딸을 제발 살려주세요……."
-140~141쪽,「부활 무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