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아이에게 말을 걸다 - 스스로 성장하는 아이로 키우는 음악 속 숨은 감성 찾기
김대진 지음, 국지연 엮음 / 웅진리빙하우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민재마더에요~~~~~~♡

 

 

 

 

 

 

 

 

 

얼마전 민재파 회사에서 해설이 있는 클래식 공연 티켓을 받게되어 공연을 보고왔거든요.

 

그 감흥이 꽤 오래갔는데...

 

공연을 보면서 느낀 한가지!!

 

민재에게 음악을 어떻게 접근해주면 좋을까...언제 어떻게 만나게 해주는 것이 좋을까

 

또 악기는??

 

뭐 그런 생각이 머릿속에 계속 들더라구요.

 

민재마더가 궁금했던 음악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시켜줄 멋진 책을 만나 소개시켜드리려구요.











음악이 아이에게 말을 걸다

김대진 지음

국지연 엮음

웅진 리빙하우스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한국예술영재교욱원 원장, 수원시향 상임지휘자로

끊임없이 진화하는 음악가 김대진 교수의 저서

<음악이 아이에게 말을 걸다>를 통해 아이와 부모에게 음악의 가치를 알려주는 책이에요.

음악이 아이에게 좋은 것이라는 건 알겠는데 어떻게 다가가야 하는지, 

어떤 곳을 들려줘야 하는지 민재마더뿐 아니라 모든 대한민국 엄마들의 궁금을 해소해주고,

아이를 변화시키는 음악의 무한 잠재력을 소개해주는 책이기도하구요.

정말 읽기도 전에 기대감 팍팍!!




















INTRO 음악, 가장 궁금한 이야기

PART1 음악이 아이에게 말을 걸다

PART2 아이와 발을 맞추는 음악, 눈을 맞추는 부모

PART3 아이의 감성을 키우는 소리, 우주를 채우는 음악

PART4 음악과 함꼐 걷는 길, 자신만의 꽃을 피우는 아이들

PART5 나에게 온 음악, 그리고 다시 음악

OUTRO 김대진이 추천하는 아름다운 작곡가들





















첫장을 열자마자 눈에 들어오던 글귀에요.

예술의 시작은 즐거움이다

교육의 시작은 호기심이다

즐거움과 호기심 두 마리 토끼 몽땅 잡고싶어요~^^

민재마더 욕심쟁이인가요?ㅎㅎ



















음악이 정말 감성을 키울까요?

민재마더 뿐 아니라 다른 대한민국 엄마들의 대표적인 궁금증이 아닐까 싶어요.

음악을 알게 되면 생기는 장점 눈에 직접적으로 보이지는 않죠.

하지만 글에 적혀있듯이 음악이 아이의 감정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건 맞는 것 같아요.

아이의 감정이 풍부해진다면

생각의 폭이 넓어지고 사용하는 언어가 풍부해지며 주변의 사물과 상황을 바라보는 시선 또한 달라지겠죠.

또, 감성이 풍부한 아이라면 현재 원하는 것과 미래에 되고 싶은 모습에 대해 

좀더 세밀하고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표현을 할줄 알테니

민재마더 결심했어요!!!!

김대진 교수가 추천하듯이

감정이 풍부한 아이로 키우기 위해 음악뿐만 아니라 문학과 미술, 무용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대한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줘야겠다고...

그럴려면 음악회나 전시회, 책 등 다양한 경험 쌓게 해주어야겠어요^^







 











어쩜 민재마더가 공연 보고 난 후 궁금했던 내용들이

이렇게 쏙쏙 담겨져 있는지 깜짝 놀랐다니깐요^^







악기는 언제부터 가르쳐야 할까요?

아이들이 음악과 가까워지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 악기죠.

하지만 악기를 배우는 과정에서 아이들 힘들어하거나 지루해하거나 억지로 마지못해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 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어떤 목표를 갖고 악기를 배우기보다는 아이가 악기를 통해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 수 있게 해준다면 훨씬 자연스럽게 음악을 좋아하게 될 것이라는 문구

꼭!기억해두어야겠어요.








또, 아이가 가장 호기심을 가지는 악기, 가장 하고 싶어 하는 악기,

가정에서 함께 소리를 나눌 수 있는 악기를 선택해야한다는...

그런 점때문에 너무 어렸을 때 악기를 정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의 흥미를 느끼는 악기가 무엇인지

스스로 알 수 있을 나이에 자신만의 악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악기 배우기 외에 음악과 더 가까워지기 위한 방법은 역시 자주 듣는거겠죠.

한 시대나 분야에 치중하지 않고 시대별로 골고루 듣게 민재마더도 노력해야겠어요.




















민재마더 음악회를 자주 가는 것은 아니지만

갈때마다 한번씩 궁금했던...

음악회에서 음악을 듣는 법이 따로 있나요?

음악회에서는 원하는 대로, 듣고 싶은 대로 음악을 들으면 된다.

이 말이 진리가 아닐까싶네요.

연주는 오직 그 순간, 한 번밖에 없는 찰나의 예술인만큼

연주자와 청중이 따뜻한 마음으로 서로 공감할 수 있다면

더할나위 없이 멋진 공연으로 감동은 배가 될 것 같아요.








 










"예술은 힘이 아니라 위로다"

토마스 만



















음악은 누군가가 우리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간절한 언어

누구나 한번쯤은 음악을 통해 복잡하던 마음을 순식간에 변화시키고,

행복한 마음을 더 크게 만들고,

우울한 마음을 위로받은 경험 있으실꺼에요.

민재마더도 울적한 기분을 달래고 싶을 때, 또는 기분이 너무 좋아 그 기분을 한층 업!시키고 싶을 때

음악을 찾게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그 이유가 바로 음악은 누군가가 우리에게 말하고 싶었던 간절한 언어이기 때문이라네요.

생각해보니 그말이 딱 맞는 것 같아요.

책은 활자로 되어 있지만 음악은 음표로 바뀐 것 뿐이니깐요.

아름다운 음악을 듣고 눈물을 흘리거나 깊은 감동을 받는 이유

바로 마음이 움직였기 때문일 것 같아요.



















좋은 친구와 와인과 클래식은 시간의 두께가 닮았다

클래식 평상시에 자주 접하시나요?

민재마더는 50% 정도?인 것 같거든요.

클래식과 친해지려면 자주 접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일텐데요.

그렇다고 클래식만 듣는 것은 자칫 집중력도 잃고 흥미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음악을 접하는 과정에서

클래식도 빼놓지 않아야한다고 조언하고 있어요.

집에서 챙겨서 클래식을 듣고 관련 내용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을 수 있으니

가족, 친구들과 함께 가까운 공연자에서 좋아하는 연주자나 작곡가의 작품을 직접 듣는건 효과가 더 클 수 밖에 없을테구요.

왜냐하면 아무래도 소리 하나하나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잖아요.

고정관념으로 클래식을 이해하려하기 보다는 사람의 마음에 따라

그 느낌과 감동이 각자 다르게 다가올 수 있다는 점도 인정해야겠구요.

지식으로만 공부하는 음악보다는 연주를 직접 듣고 감동을 느끼는 경험을 많이 쌓아야한다는 것도 명심!!



















민재마더가 궁금했던 내용을 이렇게 멋진 한권의 책을 만남으로써

정말 개운하게 해소된 듯한 느낌이구요.

아이를 변화시키고 성장시킬 수 있는 힘!

민재에게 음악과 함께할 수 있게 가까이할 수 있게

다양하게 접해볼 수 있게 도와주어야겠다고 다시 한번 굳은 결심하게되네요~♥









아이가 처음 구구단을 외던 순간

한글을 읽던 순간

피아노 건반에 손을 올리던 순간

그 때만큼은 검사, 의사, 세계적인 연주자가 되기를 바라지는 않았을 것이다.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마음껏 시키고, 아이가 호기심을 갖는 것에 함께 기뻐하고, 아이의 발견을 놀라워했을 것이다

그 마음을 잊지 마세요.

아이와 함께 기뻐하고 슬퍼해주세요.

-본문 중에서-









[서평단 후기 활동이며, 해당 출판사로 부터 제품을 제공 받아 작성하는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