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무에서 바로 쓰는 도해 만들기 - 회의·PT·수업에서 모두 통하는 그림 자료 전략
가토 다쿠미 지음, 김진아 옮김 / 영진.com(영진닷컴) / 2025년 10월
평점 :
*** 리뷰어스 클럽 소개로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실생활에서 쓰는 그래프(group) 이야기다.
우리가 문서를 작성하는 데 자주 접하는 group의 활용법을 알려준다.
어떻게 하면 자료를 한 눈에 에 잘 표현할 수 있을까? 그런 고민을 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도해(group)을 알기 쉽게 정리하는 방법
주어진 정보를 예쁘게가 아니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먼저 고려해야 할 점들을 잘 정리해 두었다.
자신이 만든 group의 불필요한 요소를 찾는 법, 기준점에 따라 가다듬는 법, 요소와 관계를 글자, 도형,
그림으로 가장 적절하게 찾는 법을 찾기는 쉽지 않다.

※ 도해(group) 작성에 도움이 되는 길잡이 워크시트 제공
자신이 만든 group를 잘 만들었는지, 체크해 볼 수 있는 워크 시트가 제공되어 무척 도움이 된다.
쉽게 물어 보기 어려운 것들은 이 책은 쉽게 설명해 준다.

2. 목차
제1장 : 그림과 그래프의 차이를 소개하고 , group를 만드는 법을 알려 준다.
제2장 : group을 알기 쉽게 만든다는 의미를 알려 준다.
제3장 : group 작성 순서와 작성 기준을 눈과 뇌로 나누어 이야기 하였다.
시각과 사고에 대해 다양한 기준을 적용한 설명들이 group 작성하는 기준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게 되었다.
제4장 : group 프레임 워크 9
주로 사용하는 9개의 group 와 특징을 알려주고, 서로의 차이점을 비교해 주어 내가 가진 정보에
가장 잘 맞는 group를 잘 찾아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는 group를 멋지게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정보의 종류에 따라 표현하기 쉬운 프레임들의 차이를 설명해 놓은 게 좋았다.
적절한 group를 찾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지, group를 만들어 본 실무자라면 알 것이다.
이 책은 그런 부분을 매끄럽게 설명하고 알기 쉽게 접근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 9개의 group는 모두 매트릭스(matrix)로 변환할 수 있다.는 사실이 당연하지만 놀랍고 재미있었다.
결국 모든 group의 출발점과 끝이 매트릭스(matrix) 임을 알게 되었다.
보고서를 작성할 때 group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여러개의 group를 사용해야 할 때는 쉽고
한 눈에 보이도록 표현하기 위해 얼마나 애를 쓰는 지 group를 사용하는 실무자라면 다 알것이다.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자료를 제일 잘 표현할 수 있는 group를 찾아 멋진 보고서를 작성하고 싶은
실무자가 꼭 읽고 도움 받아 보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