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장 - 2004년 제28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김훈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04년 1월
평점 :
김훈의 화장은 잔혹한 소설이다. 소설의 잔혹함은 여러 층위에서 발견된다. 한 생명이 속절없이 꺼져가는 그 순간에도 다른 생명들은 그것과는 전혀 상관없다는 듯 배설의 욕구를 느끼고 수면의 욕구를 느끼고 허기를 느낀다. 한 생명이 투병으로 기진맥진할 때 또 다른 생명은 자신을 닮은 아이를 낳는다. 모든 생명은 그렇듯 개별적인 것이다. 한 생명은 다른 생명과 섞일 수 없다. 아내의 고통이 아무리 크다 할지라도 나는 아내의 고통에 가 닿을 수 없으며 아내의 고통을 응시하는 나의 고통만을 체감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종양은 생명 현상의 일부이지만 생명 자신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반생명적이기도 하다. 생명 안에서 존재하는 종양 역시 생명과는 별개로 제 길을 뻗어 나간다. 설사 자기가 파멸에 이른다고 할지라도 중간에서 멈추지 않는다. 얼마나 잔혹한가. 인정사정 봐주지 않고 한 생명을 죽음으로 몰아간다는 것은. 생명을 향한 무차별적이고 무자비한 공격.
소설의 잔혹함은 비단 생명 활동의 무자비함에서만 오는 것은 아니다. 죽어가는 아내를 두고 회사의 젊은 여직원을 연모하는 화자에게서 독자는 잔혹함을 본다. 이것은 아픈 아내를 두고 어떻게 한눈을 팔 수 있느냐는, 도덕의 잣대로 판단을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저 사내는 언제부터인가 추은주의 이름과, 둥근 어깨와 빗장뼈와 흘러내리던 머리카락이 보였을 뿐이다. 그러나 여자들을 묘사하는 작가의 시선에서는 어쩐지 불편함을 감출 수가 없다. 종양과 싸우느라 살은 가죽밖에는 남지 않은 아내, 아내는 이제 후각과 미각이 마비되어 음식의 맛은 고사하고 자기 몸에서 나온 대소변의 악취도 느낄 수가 없다. 여자가 제 한 몸을 가누지 못하고 남의 손에 옷이 벗겨질 때, 몸에 병이 깊어 자신의 대소변조차 가리지 못할 때 그것은 차라리 죽음이 더 나을 수도 있는 수치다. 이러한 수치를 작가는 잔혹하리만큼 자세하고도 섬세하게 묘사를 한다. 아내의 몸은 더 이상 아내의 것이 아니라 간병인의 처리 대상이고 내 수발의 대상으로서만 느껴질 뿐이다.
아내의 몸은 이렇게 구체적인 악취와 무게를 가지고 죽음을 향해가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살아 있고 건강한 추은주의 몸은 닿을 수 없는 먼 대상이다. 추은주가 아이를 낳고 아이를 먹이는 것은 구체적인 생명 활동이다. 그러나 그것은 내가 닿을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내가 아무리 추은주의 빗장뼈와 푸른 정맥, 둥근 어깨를 볼 수 있고 그녀의 체액에 젖는 살들과 그녀가 아이가 지났을 산도를 짐작한다고 한들 어찌 해볼 도리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어찌해볼 도리가 없다고는 해도 내가 추은주를 바라볼 때 짐작할 수 밖에 없는 그녀의 몸은 독자를 불편하게 한다. 무언가 보여지는 대상으로서 불공평함을 가지고 있는 느낌이다.
시선의 불공평함은 이 소설의 곳곳에서 드러난다. 아픈 아내의 몸을 묘사하는 장면이나, 추은주를 바라보는 장면, 화장품 회사의 영업 묘사 장면, 질 세척제 개발 과정에서의 회의 장면 등등. 특히 질 세척제를 개발할 때 여자들의 개별적인 질이 그 부위만 편집되어 총 천연색 화면으로 등장했을 때 여자들은 자신의 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수치심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여자는 오로지 표면으로만 다뤄질 뿐인가? 여자의 표면은 색조화장으로, 여자의 심층은 (마음이나 내면이 아니라) 그저 질 세척제의 사용 부위로 등장한다. 그나마 개별적인 질들의 '질적 차이'는 영업의 논리에 따라 깡그리 무시된다.
김훈의 '화장'은 잔혹하다. 모든 살아있는 것들의 몸은 부분적으로 절단된 채, 관찰되고 묘사되고 있다. 피가 낭자하지는 않지만 소설에서는 대소변의 악취와 체액과, 종양, 밥이 진동한다. 살아 있다는 것은, 정녕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그를 볼 수는 없는 일일까. 다른 생명은 영원히 가닿을 수 없는 불가능한 꿈 일 뿐인지. 문득 아찔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