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지금, 너에게 간다
박성진 / 북닻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인가 지하철 내 객실이 변화되었다. 바로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가 발생한 이후가 아닐까 한다.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는 2003년 2월 18일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로 역에서 일어난 대형 지하철 화재사고이다. 이 사고로 총 12량의 지하철 객차가 불에 타고 192명의 승객이 사망하였다.

화재 원인은 뇌졸증 후유증으로 인해 뇌 병변장애와 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었던 50대 중반의 남성이 자신의 신병(身病)을 비관하다 저지른 방화에 의한 것이었다.

부끄러운 이야기이지만 위의 이야기는 인터넷을 검색하여 알게 된 정보다. 18년이 지난 지금 당시의 참사 현장이 기억 속에서 거의 사라졌다. 그저 대형 참사였다는 사실만 기억에 남아 있을 뿐이다.

<지금, 너에게 간다>는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이다. 당시의 참혹했던 상황 속에서 인명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고 구조작업을 벌였던 소방관들의 숭고한 이야기를 써놓았다.

<지금, 너에게 간다>는 특전사 부대 출신의 소방관 수일과 애리의 티격태격하는 사랑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하기도 하다. 애리는 수일에게 소방관이 되기를 권하였지만 시도 때도 없는 수일의 소방관 업무 출동은 애리를 지치게 만들었고 결국 두 사람은 헤어졌다. 헤어진 3년 후 두 사람은 맞선 자리에서 서로 맞선 상대로 우연히 재회를 하고 이를 계기로 다시 연인이 되었다. 그러나 또다시 반복되는 수일의 소방관이라는 직업은 다시 한번 애리를 힘들게 하였고 애리는 수일과 이별하기로 결정한다. 애리는 부모님을 뵈러 가기 위해 지하철을 탄다. 그 지하철에는 더 이상 살고 싶지 않은 묵현이라는 중년의 사내가 기름 가방을 들고 함께 타고 있었다.

묵현이라는 사내의 분신자살로 애리가 탄 지하철은 순식간에 화마로 변하여 승객들을 덮쳤다. 과연 애리는 수일에 의해 무사히 구출이 될 수 있을까.

<지금, 너에게 간다>를 읽으며 두 번이나 눈물을 흘렸다. 글로 된 이야기가 어느 순간 영화의 장면들로 떠오르면서 감정이 복받치게 만든다. 길지 않은 소설이지만 충분히 감동적이었다.

<지금, 너에게 간다>는 저에겐 아픔이었고 깨달음을 주는 작품입니다. 우리는 어릴 적부터 소방관분들께 존경과 감사함을 가지고 살고 있습니다. 실생활에 직접적인 접촉은 흔하지 않지만 나와 당신이 필요할 때면 언제든 나타나시죠. 그것이 낮이든 밤이든 새벽이든 중요하지 않아요.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이들의 희생과 봉사, 출동이 당연시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구급 대원이 취객에게 폭행을 당해 뇌출혈로 사망한 사건은 너무나도 비극적이었습니다. (중략) 이 소설은 그런 이유로 시작되었습니다.

-작가의 말 중에서-

어느 누군가는 이러한 이야기를 써야만 한다고 생각을 하였다. 그래서 박성진 작가의 <지금, 너에게 간다>라는 책이 더 반갑게 느껴진다.

살아가면서 아직 소방관들의 도움을 받아보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숭고한 이야기는 많이 듣는다. 소방관들의 일을 그저 여느 직업인으로서의 업무로 치부하기에는 너무 많은 위험이 따르고 뜻하지 않은 희생이 따른다. 아침에 출근해서 저녁에 퇴는 하는 일반적인 직장인에게는 부여되지 않는 사명감이 그들에게는 존재한다. 그들의 숭고한 직업정신을 우리는 고마워하면서도 간과할 때가 더 많다.

<지금, 너에게 간다>는 e-book으로 발행되었다. 200페이지가 안되는 비교적 짧은 소설이다.

e-book은 핸드폰만 있으면 시간, 장소 구애받지 않고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 너에게 간다>를 읽고 소방관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