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블로그로 책 쓰기다! - 블로그 글쓰기로 책도 쓰고 작가도 되자
신은영 지음 / 세나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다보면 가슴이 설레는 책이 있다. 한 페이지를 읽는 순간 가슴이 뛰는 책이 있다. 이 책이 바로 그런 책이다. 몇장을 읽어내려가면서 나도 모르게 가슴이 두근거렸다. 문학작품이라면 감동이 있어 가슴이 벅차오를 수도 있겠지만 글쓰기에 관한 자기계발서를 읽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다니 희한한 일이다.


책을 읽고 글을 쓰는 사람들이라면 당연히 글쓰기에 관심이 있다. 관심을 넘어서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있을까 고민하고 알아본다. 글을 어떻게 하면 잘 쓸수있을까 알아보는 방법중에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 글쓰기 관련 책을 읽는 것이다. 또한 끊이지 않고 출간되는 것이 글쓰기 관련 책이 아닌가 생각된다. 최근의 경향은 글쓰기로는 만족스럽지 않은 듯 책을 써야한다며 책쓰기 관련 책들이 연이어 나오고 있다.


글쓰기 혹은 책쓰기 관련 책들을 읽으면서 저자들의 이야기가 훌륭하고 고개가 끄덕여지기는 하지만 웬지 마음 속 깊이 와 닿지는 않았다. 저자의 상황과 나의 현실속 미묘한 차이가 완전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 책도 기존의 책쓰기 관련 도서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저자의 이력을 보니 아동문학상을 수상한 후 동화작가로 활약하는 재원이었다. 책의 표지에는 평범한 전업주부였다고 하였지만 역시나 글을 쓰는 남다른 재주가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책을 읽어나가면서 여느 글쓰기관련책과 조금 다름을 느꼈다. 블로그에 글을 쓴다는 공통점이 있어서인지 저자가 써놓은 이야기들 대부분이 궁금했던 이야기들이고 나에게 필요한 이야기들이었다. 맞춤형 이야기라고 해야할까? 나의 가슴이 뛰었던 이유가 바로 내가 알고 싶은 이야기들을 쉽고 진솔하게 쏙쏙 뽑아서 이야기해 주었기 때문이다.


내가 블로그에 주로 쓰는 글은 서평이다. 서평을 어떻게 써야하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부분이 당연히 제일 반가울 수 밖에 없다.


▶서평은 어떻게 쓰는것이 좋을까?


1. 분야에 상관없이 저자가 하고자 하는 말을 잘 찾아내야한다.

즉 요약을 잘 해야하는데 요약한다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2. 주제를 소개한 다음 자기 생각과 경험을 곁들인다.

처음 서평을 쓸 때 제일 안되었던 부분이었던 것 같다. 어떻게 요약까지는 하겠는데 나의 생각을 잘 녹여내는 것이 쉽지 않았다.

3. 디테일에 강하다.

이 부분은 특히 소설과 같은 문학작품의 서평을 쓸 경우에 필요한 듯하다. 소설속의 인물들을 입체적으로 쓸 수 있는 요소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도 처음 서평쓰기가 어렵다면 책을 읽는 단계부터 의식적으로 질문을 던져보는 연습을 해보라고 한다.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 거죠?'

'왜 그래야 하죠?'

'어떻게 할 수 있는데요?'


혹 저자의 의견이나 주인공의 생각과 행동에 동의 할 수 없다면 자신만의 정중한 반박을 담아내는 것도 좋다고 한다.

결국 서평 쓰기는 글을 쓰는 단계만을 뚝 잘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책을 읽는 단계부터 '질문하기'를 통해 어떤 글을 쓸지 정하고 머릿속으로 정리하는 것이어야 한다. 책을 실컷 읽어놓고 그다음에 '서평에 뭐라고 쓰지?'라고 고민한다면 서평 쓰기는 절로 버거운 활동이 되고 만다. 그러니 책을 읽는 동안 끊임없이 질문하자!

서평은 어떻게 쓰나요? 58p

책쓰기에 대한 책을 읽으면 어딘가 불편한 느낌이 든다. 어떤 저자는 책을 읽고 글을 쓰는데 왜 책을 안쓰느냐! 버럭어조로 말한다. 어떤 저자는 책을 써야 성공한 인생인 듯 이야기한다. 또 어떤 저자는 부업으로 책쓰기만한 것이 없다고 현실강의를 한다. 내게는 좀 불편하고 부담스러울 뿐이다. 책을 낼 수 있다면 좋겠지만 꼭 해야한다는 부담을 진다면 할 일도 많은 현실에서 또 하나의 짐을 얻는 것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이 책의 저자도 책을 쓰라고 권유한다. 그러나 다짜고짜 책을 쓰라고 하는 것이 아닌 책쓰기의 기본기부터 알려준 후 서서히 글쓰는 근육을 만드는 훈련 방법을 알려준다. 모든 준비가 끝나면 내가 연습한 글들을 모아 책으로 엮으면 되는 것이다.


글쓰기 기본기는 다져졌는데 글쓰기 근육을 만드는 방법이 어렵다면 그저 이 책을 읽고 지나가는 데 그칠 것이다. 그러나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블로그에 글을 쓴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방법들이다. 혹시 블로그를 하지 않거나 블로그는 있어도 글을 쓰지 않는다면 이 책에서 알려주는 방법대로 글을 쓴다면 글쓰기가 분명 늘어날 것이라 생각한다.


▶저자가 알려주는 글쓰기에 대해 알아보자!


1단계 :100일동안 A4 반장씩 매일 쓴다.

2단계 : 30일동안 A4 1장씩 매일 쓴다.

3단계 : 50일동안 A4 1장반씩 매일 쓴다.

4단계 : 40일동안 A4 2장씩 매일 쓴다.

5단계 : 30일동안 A4 3장씩 매일 쓴다.


마지막 5단계를 무리없이 할 수 있게 된다면 글쓰기 근육이 강화되어 지속적인 글쓰기가 가능해진다고 한다. 또한 4단계와 5단계의 글들이 모이면 각각 책으로 엮을 수 있는 분량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쓴 글들을 모아 저자는 1년에 책 4권을 출간하였다.


내가 블로그를 시작하고 서평을 쓴지 1년이 되었다.

만일 내가 글을 쓰기 시작한지 몇 달 안되었거나 블로그를 하지 않는다면 저자의 이야기 또한 나의 현실과 거리가 먼 이야기로 생각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블로그에 글을 쓴 지 1년이 지난 지금 저자의 방법은 분명 큰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1년전에 한 문장도 쓰기 어려워 했던 내가 지금은 1,200자 정도의 글은 어렵지 않게 쓸 수 있게 되었다. 물론 1년동안 저자가 권유한 방법처럼 매일 쓴 것은 아니었지만 꾸준히 써 온 덕분에 글쓰기 기초체력은 생긴 듯하다.

저자는 또 하나의 글쓰기 비법을 알려준다. 바로 다양한 글쓰기 방법이다

.

묘사하는 글쓰기, 호기심을 일으키는 전개, 힘빼고 쓰기, 강한 도입부로 시작하기...


저자가 쓴 글을 사례로 들어 설명해 놓았다. 저자의 글들을 보면 문학가로서 손색이 없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사물에 대한 관찰이 세밀하고(저자 스스로 관찰력이 뛰어나다고도 하였다.) 표현력이 풍부하며 글 속에서 따뜻함이 베어나온다.


5장에는 저자가 블로그에 매일 한 편씩 올렸던 에세이들을 실어놓았는데 머지않아 그 글들을 모은 책 한권이 또 출간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매일 글을 쓴다는 것이 결코 쉬운일은 아니다. 그러나 하루에 몇줄이라도 글을 쓰기 시작하고 꾸준히 지속해 나간다면 분명 글쓰기는 늘어날 것이라 장담한다. 이는 몸소 경험한 부분이기에 자신있게 말 할수 있다. 물론 뛰어난 글을 쓴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종이만 멀뚱멀뚱 쳐다보던 나자신이 지금은 처음보다는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이 많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저자는 책쓰기는 특별하지 않다고 한다. 물론 독자의 입장에서는 반박의 여지도 있다. 책을 이미 써낸 작가니까 특별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그러나 저자는 매일 블로그에 글쓰기를 하여 글을 올렸고 그 글들을 모아서 책으로 엮었다. 나도 책쓰기가 목적이 아닌 매일 글쓰기를 목표로 우선 100일 도전을 해 보고자 한다. 100일을 해 본 후 저자의 글쓰기 효능감에 대해 다시 논해보도록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