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로 산다는 것 -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 했던 운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결혼하면 왕비처럼 살게 해줄께" 라는 말은 비록 현실적이지는 않지만 여자에게 있어서는 최고의 삶처럼 생각이 된다. 그러나 과연 왕비처럼 사는 삶이 여자에게 최고 행복한 삶이 될 수 있을까? 아마도 동화속 이야기라면 가능할 것이다. 조선시대의 왕비처럼 살게 해줄께 라고 한다면 잠깐만요 하고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


어려서라면 왕비가 되어 궁녀들의 시중을 받으며 아무것도 하지 않고 우아하게 살 수 있는 삶이 부러워 왕비처럼 되고 싶다고 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생을 어느정도 알 만한 나이가 된 지금은 결코 왕비의 삶이 마냥 부럽고 되고 싶지는 않다.

조선시대 왕비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사실 조선시대 여인들의 이야기라고 하면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알게 되는 것이 많다. 정사를 다루는 역사책은 여인들의 이야기보다는 남성중심의 이야기가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그런면에서 이 책은 조선시대 여인들, 그 중에서도 궁중의 안방마님격인 왕비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더 흥미진진하다.

내조의 여왕

여인들의 내조는 예나 지금이나 매우 중요하다. 내조의 방법은 적극적인 방법이 있고 소극적인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내조라고 하면 집안일에 국한 되는 경우가 많다. 조선시대에는 특히 여자들은 아녀자로서의 본분을 다하는 것이 최고의 내조였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여장부처럼 적극적으로 남편의 일을 돕고 심지어 정치적인 부분까지 관여하여 내조의 여왕으로 불리던 왕비들이 있다. 바로 태조의 경처인 신덕왕후와 인조의 왕비인 인열왕후 한씨이다. 신덕왕후는 고려 말 새로운 왕조를 세우려는 이성게의 옆을 지키며 조선 건국 과정에서도 공을 세우는 '내조의 여왕'의 역할을 하였다.

인조의 부인 인열왕후 한씨는 인조가 즉위하면서 왕비로 책봉되었다. <인조실록>에서도 확인되듯이 인조반정에도 적극 참여하였고 인조가 왕이 된 후에도 내조의 여왕으로서 적극적인 내조를 하였다.

한편으론 적극적인 내조를 하였으나 팽을 당한 경우도 있었으니 바로 태종 이방원의 부인 원경왕후 민씨였다. 원경왕후 민씨는 남편이 정치적 고비를 겪을 때마다 당찬 여걸의 모습을 보여 주며 태종을 도왔다. 그러나 태종이 왕이 된 이후에는 왕권강화를 내세워 원경왕후의 친정까지 탄압을 하고 형식적인 왕비로서 더이상 존재감이 없게 되었다.

질투의 화신들

왕비의 삶이 부럽지 않은 이유중 하나는 남편의 사랑을 나누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로서는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조선시대에는 여인이 아이를 낳을 수 없으면 후처를 두어 가문의 대를 이을 후손을 낳아야 했다. 왕의 경우는 왕비에게 후사가 있어도 여러 후궁을 거느리며 자손을 번창하게 하는 것이 당연하였다. 여인들은 이를 당연히 받아들였고 칠거지악의 하나인 투기는 죄악과 같았다. 그러나 어찌 모든 여인들이 한결같이 고분고분 따를 수 있을까. 지아비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싶은 심정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같았을 것이다. 그러나 관습과 시대적 요구에 의해 억누르고 따르는 것일 뿐이다. 하지만 모든 여인들이 참고 감내하였던 것은 아니다. 왕비라고 결코 다르지 않았다. 그래서 그녀들은 비운의 왕비가 될 수 밖에 없었다.


우선 문종의 첫 세자빈이었던 휘빈 김씨는 문종이 그녀를 가까이 하지 않자 불안감을 느껴 압승술(주술을 쓰거나 주문을 외워 요사스럽고 나쁜 기운을 눌러 없애는 방술)로 문종의 사랑을 얻고자 엽기적인 행각을 벌이다 발각이 되어 폐빈이 되었다.


그리고 두번째는 많은 사람들이 잘 아는 폐비 윤씨이다. 성종의 두번째 왕비로서 간택당시 그녀는 정숙,신실,근면,검소함으로 왕실의 지원속에 왕비가 되었다. 그러나 윤씨는 성종이 후궁들을 총애하고 자신을 멀리하자 비상을 소지하면서 후궁들을 제거하려 하였다. 결국 성종은 윤씨를 폐비하였고 사약까지 내려 폐비윤씨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게 되었다.

동성애자 세자빈

문종의 두번째 세자빈은 순빈 봉씨이다. 세종은 문종의 첫번째 세자빈의 사례를 생각하며 지극정성으로 순

빈 봉씨를 가르쳤으나 그녀는 술을 즐기고 자유분방한 생활을 하였다고 한다. 순빈과 문종사이는 좋지않았고 후사가 없자 후사를 이을 후궁을 뽑았다. 그러자 순빈은 질투하였고 급기야는 궁궐의 여종 소쌍을 사랑하게 된다. 이를 알게 된 세종은 결국 순비마저 휘빈 김씨에 이어 폐출을 하였다.


이 책 속에는 43명의 왕비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이 중에서 들어서 알만한 왕비들은 그리 많지가 않았다. 어떤 왕비는 왕의 존재감이 약해서 왕비의 존재감이 없었고 어떤 왕비는 출산후 얼마안되어 사망을 하기도 하였다. 정조의 왕비 효의왕후 김씨의 경우는 60년 까까이 궁궐의 중심에 있었지만 후사가 없고 주변의 인물들의 성격이 강한 탓에 거의 존재감 없는 왕비가 되었다. 어떤 왕비는 수렴청정으로 정치의 중심이 되어 왕 못지않은 명성을 남기기도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왕비로 산다는 것은 생각보다 더 힘들고 고달픈 삶이라는 생각이 든다.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안전하게 왕비가 되고 대비까지 올라 생을 마감하는 것이 결코 쉽지가 않았다. 왕비의 자리가 결코 안전을 보장해 주는 자리가 아님을 역사는 보여주었다.


모든 왕비들의 삶이 드라마틱하다. 짧은 생으로 마감한 왕비도 있고 8명의 왕을 거치며 장수한 왕비도 있다. 어지러운 정치상황속에서 바늘방석같은 삶을 살아야 했던 왕비도 있고 시아버지의 사약을 받아야 하는 운명의 왕비도 있다. 왕비의 기질보다는 여인의 기질이 더 많아서 투기로 폐비가 되기도 하고 자식을 위해 모든 것을 감내해야 하는 어머니로서의 왕비도 있다. 모두가 평범한 여인의 삶이 아니다.


이 책은 왕비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지만 조선 건국부터 조선말기까지 연대순으로 나열해 놓아서 조선시대를 한번 훑어보는데도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왕과 왕비들의 묘에 대한 이야기도 자세히 나와 있고 장소도 나와 있어서 관심이 있거나 가까운 거리에 있는 왕릉은 한 번 찾아가 보는 것도 좋지않을까 생각한다.


마치 드라마를 보는 듯 이야기가 흥미롭고 잘 알지 못했던 왕비들에 대한 이야기와 야사까지 곁들여져 적지않은 페이지에도 불구하고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조선시대를 정리해 보기에도 좋은 책이라 학생들의 역사공부 이해를 도와주는 도서로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