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알겠다.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 어려움을 극복한 이야기, 끝까지 해 내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책을 통해서 읽으면 그 들이 왜 성공할 수밖에 없는지 잘 알겠다. 그러나 그것은 그들의 이야기이다. 물론 그들의 이야기를 읽는 이유는 본받고 발전된 나의 삶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첫머리에서 말했듯이 많은 장애물들이 나의 목표실현을 방해한다.
1. 꿈이나 목표가 와 닿지 않는다.
2. 결국 작심삼일로 끝난다.
3. 급한 일정이나 일에 휘둘려서 지속하지 못한다.
4. 도중에 싫증이 나서 매너리즘에 빠진다.
5. 성과가 나기전에 멈춘다.
6. 나쁜습관을 버리고 싶다.
7. 꿈이나 목표를 빨리 실현하고 싶다.
7장 이제 당신은 무슨 일이든 끝까지 해낼 수 있다. 153p
끝까지 해내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진심으로 하고 싶은 것 계속하고 싶은 것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2장 결심은 쉽다, 계속하는 게 어렵지 49p
생각해보니 나의 결심이 매번 흐지부지되는 것은 끝까지 해내지 않아도 내가 살아가는 데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었다. 만일 내가 먹고 사는데 영향을 주는 일이라면 무슨일이 있더라도 하지 않을 수 없을것이다. 그러나 내가 어떤 목표를 정하고 이루고자 하는 것은 나의 발전된 삶을 살기 위함이다. 이루지 못한다고 내 삶이 흔들리지는 않는다. 다만 항상 제자리인 발전없는 삶을 살게 될 뿐이다.
'할 수 있다/없다'가 아니라
'한다/하지 않는다'로 상황을 파악하자.
오늘 하지 않았으면 내일 만회하면 된다.
2장 결심은 쉽다, 계속하는 게 어렵지 55p
이 말을 읽으며 중요한 것을 깨달았다. 지금까지 나는 어떤 일을 결심하면 하루도 빠지지않고 해야한다는 일종의 강박을 느끼며 실천하였다. 그러다보니 시간이 흐를수록 부담이 되고 하루 이틀 빠지게 되면 뭔가 중간에 나사가 빠진 듯 불만스럽다. 점점 처음 세운 계획과 많이 차이가 나거나 어긋나게 되면서 목표한 일은 없었던 일이 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저자는 늘 긍정적인 상태일 필요는 없다며 부정의 마음도 받아들이라고 한다. 사람이 항상 좋은 컨디션을 유지할 수는 없다. 때로는 피곤해서 하루 빠질 수도 있다. '매일 제대로 해야지', '끝까지 해야지'라는 굳은 마음으로 하다가는 지쳐서 오래 하지 못한다. 진심으로 이루고자 하는 일이 있다면 작심삼일이라도 좋으니 몇번이고 도전해서 꾸준히 지속하라고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는 루틴을 만들 수 있나
저자는 매일 1분 루틴노트를 만들어 습관을 들이라고 한다. 루틴노트는 '습관화 시트'와 '작심삼일시트' 두 가지로 나뉜다.
표를 이용하거나 노트에 적기와 같은 방법을 소개하는 자기계발서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사실 자기계발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그리 간단하지 않고 그 방법들을 따라하기 위해 '해야한다'는 또 다른 압박이 생겨서
이용해보지 않았다.
그런데, 저자가 제시하는 루틴노트는 하루에 1~5분만 투자하면 만들 수 있는 매우 간단한 방법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목표를 이루었을 때의 나의 모습을 상상하고, 그 모습을 이루기 위한 10초의 행동을 만들고, 실천하기 위한 작심삼일 노트를 작성하여 3주간 지속해 나가는 것이다.(한가지 루틴기준) 3주간 지속한 후 또 다른 루틴을 만들어 나간다.
저자의 방법은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고 아주 짧은시간을 이용하여 매일의 습관을 들일 수있도록 해주는 아주 효과적인 방법인 듯하다. 시트 또한 한달간 작성할 수 있도록 부록으로 실어놓아서 따로 개인적으로 시트를 만들어야 하는 부담도 없다.
이 책은 그 동안 내가 왜 매번 목표달성에 실패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깨닫게 해주었다. 계획은 거창하고 마음은 조급하며 강박에 시달렸다. 그러다보니 쉽게 지쳐서 포기하고 말았다. 그리고 또 다른 계획을 세우고 다시 포기하기를 반복하였다. 저자가 알려주는 것처럼 욕심내지 않고 소소한 것부터 습관을 만들어야 겠다. 냄비근성으로 화르르 타올랐다가 금방 식어버리는 것이 아닌 뚝배기처럼 은근히 데워져서 끝까지 해내는 사람이 될 것이다. 한 해의 결심이 매번 작심삼일로 끝났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기를 권한다. 이 책을 통해 하고자 하는 목표를 꼭 이루어내는 사람으로 변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