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중록 - 최신 언어로 읽기 쉽게 번역한 뉴에디트 완역판, 책 읽어드립니다
혜경궁 홍씨 지음, 신동운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책을 읽기전>
학생시절 역사시간에 배워 일찌기 알고 있던 책이지만 이제서야 제대로 읽어본다
엄격한 법도의 궁중속에서 며느리로서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할머니로서 비운의 삶을 살았던 여인
혜경궁 홍씨는 어떤 여인이었고 어떤 생각을 하며 엄격한 궁중생활을 견디어 냈을지 무척 궁금하다
<책을 읽고>
이 책은 6권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1권은 혜경궁홍씨의 어린시절과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궁에 들어간 이야기에 대해 쓰여있다 2,3권에서는 영조와 사도세자의 관계와 사도세자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있다 4,5,6권에서는 임오사화이후의 이야기와 친정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순조의 이야기들이 쓰여져 있다
이 중에서 내가 주목해서 본 부분은 영조와 사도 세자와의 이야기였다. 영화'사도'를 본 영향도 있겠지만 2,3권 부분을 읽으며 영화의 장면들이 오버랩되며 사도세자의 슬픈 운명이 더욱 안타깝게 느껴졌다
혜경궁 홍씨가 이 책을 쓴 이유는 자손이 되어 선조의 큰일을 모르게 되면 망극한 일이라며 본인이 없어지면 사도세자의 일을 알 길이 없기에 주상(순조)에게 알리고자 기록으로 남긴다고 하였다.
경모궁(사도세자)은 어려서 영특하고 총명하여 영조의 총애을 받았다 경모궁은 태어난지 넉 달만에 걷고 여섯 달 만에 영조의 부름에 대답하였다 일곱 달 만에 동서남북을 가리키고 두살에 글자를 배워 60여자를 썼다 세 살에 사치를 구분할 줄 알아 명주옷 보다 무명옷을 입었다고 한다 또한 체구가 커서 웅장하고 천성이 효성스러우며 우애가 있고 총명하다고 하였다 물론 혜경궁 홍씨의 주관적인 글이기에 미화된 부분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또한 왕의 아버지로서 특별하였음을 강조하기 위한 부분도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경모궁이 후에 병이 깊어져 성격이 포악해 졌을 때 경모궁이 던진 바둑판에 맞아 혜경궁 홍씨의 왼쪽 눈이 빠질 뻔 하였다고 한다 그런 남편이 어찌 곱게만 여겨졌겠는가 그러나 정조의 아버지로서 순조의 할아버지로서 남겨질 경모궁의 모습은 적어도 특별함을 갖추어야 했을 것이다
어려서 이렇듯 영특하여 영조의 총애를 받던 경모궁은 어찌하여 영조의 눈밖에 나게 되었을까. 혜경궁 홍씨는 그 이유를 부모와 떨어져서 지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태어난 지 백일만에 보모에게 맡겨져 동궁전에 홀로 지내게 한 것이 경모궁을 잘 못되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이유로는 괴이한 내인들이 경모궁을 망쳤다고 하였다 괴이한 내인들이 어린 동궁에게 장난감 무기등을 주어 무술놀이를 하도록 한 것이다 경모궁이 한창 자라는 시기에 한 순간만 가르치지 않고 잘못됨을 금하지 않으면 방종하기 쉬운데 영조가 돌보지 않은 때가 많아 경모궁이 잘못된 이유를 들었다
두 부자는 성품이 많이 달랐다고 한다
영조는 똑똑하고 인자하며 민첩한 성품이고, 경모궁은 말이 없고 행동이 날래지 못하며 민첩하지 못하다고 하였다.
영조와 경모궁의 비교는 얼마전 읽은 책 '얼굴,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에도 나와 있는데 영조는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해 마른 체영이었지만 사도세자는 식탐이 많아 비만이었다고 한다. 또한 영조는 경모궁이 식탐이 많아 뚱뚱해지고 배가 나와서 열살 아이 같지 않고 글을 이해하는 능력은 뛰어나지만 뚱뚱해서 얼굴 생김새가 별로라 답답하다고 하였다고 나와 있다 영조는 그런 경모궁을 갑갑해 하며 다그치고 경모궁은 점점 더 영조를 어려워 하게 된 것이다
경모궁은 귀신을 부리는 책이라며 '옥추경'을 읽었는데 10살 무렵부터 보이던 병환이 이 때부터 깊어졌다고 한다
경모궁은 영조앞에서는 항상 제대로 말을 못하며 더듬었고 영조는 그런 경모궁을 점점 더 차갑게 대하였다 이에 경모궁은 여러차례 자살시도도 하였다 영조는 경모궁이 마마을 앓을 때도 한번도 와보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영조는 경모궁을 항상 못마땅해하며(이는 영조의 후궁의 오라비 성국이라는 흉악한 놈의 고자질도 한 몫하였다) 심지어는 사람이 많은 곳과 내인들이 많은 데서 경모궁의 허물을 드러냈다 경모궁의 성격은 점점 포악해지며 급기야 사람을 죽이기 시작하였는데 내시를 죽인 머리를 내인들에게 보였다고 한다
경모궁은 또 의대병이라고 하여 옷을 입지 못하는 병도 있었다 그래서 옷 한 벌을 입는데 몇십벌을 갖다 놓아야 겨우 한 벌을 입을 수 있었다고 한다.
결국 경모궁은 우리가 아는대로 뒤주에서 죽어갔다
혜경궁 홍씨는 경모궁이 효심이 매우 깊다고 여러차례 강조하였다 영조가 조금만 더 살갑게 경모궁을 대하였다면 경모궁은 우리가 아는 역사적 모습과 달랐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그렇다면 뒤주에서 생애를 마감하는 일도 없었을텐데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혜경궁홍씨는 책에서 여러차례 자신의 운명이 기구하며 모질고 질긴 목숨이라고 한탄하였다
그리고 차마 쓰지 못한 부분도 있고 큰 사건만 다루고 자세히 다루지 못하였다고 한다
내가 이 책에서 유독 영조와 경모궁의 이야기를 주로 이야기한 것은 두 부자의 이야기가 자식에 대한 크나큰 기대와 잘못된 육아 및 교육으로 영특한 자식이 잘 못되는 요즘 시대와도 별반 다를 것 없는 듯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영조의 경모궁에 대한 사랑이 조금 만 더 컸더라면 뒤주에서 생을 마감하는 끔찍한 일은 없지 않았을까 하는 부질 없는 생각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