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 포니원 - 포니를 만든 별난 한국인들
강명한 지음 / 컬쳐앤미디어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니를 만든 별난 한국인들’ 이라는 원제를
가진 <응답하라 포니 원>은 우리가 알 수 없었던 대한민국 최초 독자
모델 포니가 나오기까지의 과정이 상세하게 담겨 있습니다.

무엇이든지 우리가 모르는 비하인드 스토리를 만나는 것은 참으로
흥미진진하고 재밌는 경험임에 틀림없습니다.
아마도 그 경험 속에는 우리가 모르는 고통과 어려움이 함께 있기 때문에 더욱 값지고 뜻깊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스텔라’ 라는 영화가 개봉되자…
돌아다니는 스텔라가 눈에 띄는 것처럼.

포니도 만나기를 바래 봅니다.

#도서제공 #응답하라포니원 #강명한 #컬쳐앤미디어 #대한민국 #최초독자모델 #포니 #pon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방구석 가드닝 - 방 안에서 시작하는 자급자족 에코 라이프
앤절라 S. 저드 지음, 서지희 옮김 / 문학수첩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만의 정원을 베란다에서도 즐길 수 있습니다.
50가지 주요 식물들은 대부분 우리에게 익숙한 것들입니다.

너무도 간결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들을 보면서
나도 할 수 있겠는데라는 생각을 가져봅니다.

당신도 성공적인 컨테이너 텃밭은 물론
멋진 정원을 가지게 될 것 입니다.

또한 ‘고기는 사랑’이지만, 절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것들이 있습니다.

#도서제공 #방구석가드닝 #엔젤라s저드 #서지희 #문학수첩 #컨테이너텃밭 #식물 #과일 #채소 #허브 #식용꽃 #에코라이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적 행복론 - 97세 경제학 교수가 물질의 시대에 던지는 질문
리처드 이스털린 지음, 안세민 옮김 / 윌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7세 경제학자가 물질에 던지는 질문들과 행복에 관한 이야기들이 궁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은 삶을 위한 안내서 - 한 번뿐인 당신의 인생을 위한 스토아철학의 아주 오래된 지혜
윌리엄 B. 어빈 지음, 이재석 옮김 / 마음친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토아 철학이 궁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판다의 발톱, 캐나다에 침투한 중국 공산당 미디어워치 세계 자유·보수의 소리 총서 4
조너선 맨소프 지음, 김동규 옮김 / 미디어워치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판다의 발톱 - 캐나다에 침투한 중국 공산당>은 200년 전 선교로 시작된 캐나다와 중국의 관계에 대한

사실과 역사를 바탕으로 중국 공산당의 실체를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서 밝힌다. 이 책은 중국 공산당에

관한 내용이며,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꼭 알야야 하는 사실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 사실들 중에

경계를 가져야 할 것은 아마도 중국 공산당이 외국인을 친구와 적으로 구분하는 것과 통일전선 공작부가

하는 일들과 중국 공산당의 '웨이식'철학 일 것이다. 가장 경계하고 바꾸어야 할 것은 중국 공산당이

자국민들에게 행하는 억압과 통제가 아닐까?


'주적'의 개념이 무엇이며, 그것을 구분하는 이유를 모른다. 그리고 공산당의 실체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다만, 그들의 활동은 우리의 주변에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만 어렴풋이

느낄 뿐이다. 또한 공산당은 아니지만, 공산당의 행태를 보이는 많은 사람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냥 공산당이 싫은 것이 아니다. 그들이 하는 행동들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맞는 것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일당독재 체제에 의한 자유의 상실일 것이다.


캐나다에 침투한 중국 공산당들이 행하는 은밀한 공작들에 대해 우리는 예의주시해야 하며,

앞으로의 대책 또한 필요할 것이다.


'의화단 운동'으로 알고 있는 중국과 우리와는 달리 서양과 일본은 '의화단의 난'으로 바라보는 시각처럼

같은 동양권 문화에서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하나의 사건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도 있다는 것을 우리 스스로도 인정해야만이 더욱 진실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선교로 시작된 '캐나다의 호의'는 '중국의 권리'가 되어버린 상황을 전하는 저자의 이야기들은

믿을만한 자료들과 증언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 사실들을 토대로 우리는 끊임없는 의문들과 대화들을

통해 '왜 그렇게 되었을까?' 질문과 함께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에 대해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개인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을 때는 무엇이 필요할까?

관계라는 말속에는 분명 무언가를 얻고자 하는 것이 있을 것이다. 개인과 개인 간의 관계도 너무나

복잡하고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 개인을 넘어선 국가 대 국가는 그 이상일 것이다.


선교로 시작된 캐나다의 호의도 분명 중국이라는 나라에 무언가를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선의와 호의 그리고 의도는 개인이나 국가가 발전할 수 있는 힘을 주는 것은 틀림없다.

그렇지만, 내가 생각하는 의도는 상대방의 의도와 항상 같을 수도 없거니와 상대방의 의도가 무엇인지

알아내기도 힘들 것이다. 또한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은 다양하다. 그리고 승자의 역사가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 앞에 놓인 것은 중국과 관계를 맺을 것이냐 여부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중략)

우리와의 관계도 그들 방식대로 밀고 나갈 것이다. 우리가 진짜 선택해야 할 문제는 그 관계를

우리 측은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이다." (p.418)


리딩 투데이 지원 도서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리투 #사랑해유 #판다의발톱 #캐나다에침투한중국공산당 #조너선맨소프 #김동규 #미디워워치 #세계자유보수의소리총서 #캐나다 #중국 #역사 #정치 #대외관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