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의 기술 - 심리학자의 용서 프로젝트
딕 티비츠 지음, 한미영 옮김 / 알마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용서는 오히려 공평성을 잃는 손해보는 지시처럼 여겨졌다.
그럼 용서는 왜 해야 되는 것일까?
뉴스를 보면 언제나 처럼 아무 이유없이 전 재산을 잃어 버리고,
많은 사람들이 잔인하게 처참하게 죽어 나가는 이러한
 불합리한 일들이 여전히 끝임없이 일어 나고 있고
이러한 현상을 차단하고 제거하려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 해도 부족할 판에
그들을 용서하는 일이 과연 합당한 일일까?
용서가 상처받은 마음의 치유라고 한다는데
상처받은 피해자가 오히려 관대하게 용서 마져 베풀어야 한다니
뭔가 이치에 맞지도 않고 부당 한일 아닌가?
책에서 용서는
잘못된 행동을 정당화 하고 묵인해 주는것은 결코 아니라고 하며
용서를 함으로써 잘못된 행동을 옳은 것으로 만들지도 않는다고 말한다.
그리고 용서는 인과관계의 법칙을 무시하는것도 아니며
모두에게 평화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것이 우리가 바라는 것이 아닐까한다.
과거의 고통스런 경험,기억들로 인해 무거워 지는 삶의 거의 유일한 치유책 일것다.
용서의 대상으로 부터 야기된 일들로 인한 미움,증오,복수의 감정들은
그에게 다시 큰 짐을 남겨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움과 질투와 원한은 본인 스스로의 삶을 갉아 먹게 되며
이는 스스로의 행복을 가로막는 장애가 된다.
"그를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용서 하라"란 말은 어쩌면 이기적인 말 같지만
옳은 말이다. 왜냐하면 용서가 주는 혜택은 스스로 가져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용서는 스스로를 사랑하는 일이며 스스로에게 베푸는 자비이다.
그렇지만 여전히 용서하는 일이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 사회에서는 용서 해야한다는 말보다 처벌하고 고립 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더 많고 확실 하다고 한다.
그것은 두려움의 산물이다.
두려움에 반응하는 모든 행동들은 결코 두려움을 덮지 못한다.
미움을 사랑으로 되돌려 보내는 일이 용서다.
그것은 치유이고 유일한 해결책 이다.

이책 용서의 기술의 원제는 Forgive to Live 다. 살아가기 위해 용서 하라라는 뜻이다.
고통으로 부터 단단히 묶여있는 당신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이책이 씌여졌다고 하니
영적인 수행을 위한 영성서적은 아니다.(물론 용서함으로써 더 큰것 이상을 맛보는 혜택이 있겠지만!)
대부분의 책들이 용서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하지만
이책은 책 제목 대로 용서의 기술들을
체계적으로 단계적으로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을 근거로 해서 제시한다.
평화롭고 싶은가?
행복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자신과 상대방을,세상을

용서 하라.
그러한 이들에게 이책-용서의 기술은 충분히 도움이 될 것이다.
사랑과 평화가 가득 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