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 138억 년 전 빅뱅에서 시작된 별과 인간의 경이로운 여정 서가명강 시리즈 9
윤성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 편식이 심한 편이라 과학에 관련된 책은 어려울 거라는 고정관념으로 항상 접하기가 망설여졌다. 고등학생 때 이과였지만 지구과학이라는 과목은 심층적으로 공부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내가 알고 있는 우주에 대한 지식들은 피상적인 것에 불과했다. 대학생 때 천문 관련 학과에서 하는 행사로 밤하늘을 망원경으로 보았던 멋지게 빛나는 별들에 감동을 받았던 경험, 영화 인터스텔라를 보고 느꼈던 경이로움, 스티븐 호킹의 죽음으로 잠시 관심을 가져보기도 했던 블랙홀. 그런 것들로 우주는 나에게 낭만적인 공간이자 경외심의 대상으로 존재하고 있었지만 이 책을 본 뒤 그러한 감정들이 더욱 심화된 것 같다.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는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 시리즈의 아홉 번째 책이다. '서사명강'은 현직 서울대 교수진의 유익하고 흥미로운 강의를 엄선하여 도서뿐 아니라 강연, 유튜브, 팟캐스트 등으로도 만나볼 수 있는데, 이 책은 서울대학교 교양과목인 <인간과 우주> 수업의 내용을 4회로 압축해 진행한 <서가명강> 강연에 근거한 것이라고 한다. 들어가기 전에 빅뱅 우주론, 전자와 원자, 우주배경복사 등 천문학에 관한 주요 키워드를 간단하게 설명해주어서 아무 지식이 없는 천문학 입문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부분이다. 1부 코페르니쿠스의 혁명, 2부 빅뱅, 3부 별과 인간, 4부 외계 생명과 인공지능에 대해 총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해준다. 인간은 별의 먼지에서 탄생했다는 것,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계속 변하고 있는 것처럼, 별과 우주도 끊임없이 변하고 진화한다는 것, 인간의 탄생과 외계 생명에 이르기까지, 빅뱅을 통해 우주에 존재하게 된 우리 몸을 이루는 수소 등 제목에서부터 느꼈던 가장 큰 궁금증들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키고, 신기한 기초교양들을 쌓을 수 있어서 너무 유익한 책이다. 과학적 공식과 이론들이 많아 한 번에 쉽게 이해될 수 있는 학문은 아니지만, 사놓고 읽을 엄두도 못 냈던 두꺼운 <코스모스>나, 다른 천문학 관련 서적들에도 자신 있게 도전해보고 싶은 마음과, 책을 통해 알게 된 천문학에 대해 다시 한번 찬찬히 정리해보는 시간도 가져보고 싶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