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역사 제대로 모르면 안 되나요? : 근대사 - 일제 강점기부터 해방까지 제대로 배우는 근대 역사 이야기 왜 안 되나요 역사 시리즈
박주연 지음, 정순임 그림, 배성호 외 감수 / 참돌어린이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왜 역사 제대로 모르면 안되나요?

박주연 지음/ 정순임 그림

김봉수, 배성호 감수




왜 역사 제대로 모르면 안되나요? 시리즈는

아이들에게 한 주제식 질문을 던지듯 간략하게 주제에 관한 이야기가 전개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의 흐름과 드문드문 어디선가 들었던 이야기들을 주제별로 정리해준 느낌이다.





역사의 흐름을 한번 쭉 훓고 나서 왜 역사 제대로 모르면 안되나요? 를 읽는다면

정말 역사에 대해서 흥미로운 사실들에 호기심이 발동될것 같다.

그리고 흐름을 잡지 못했어도 어떤 질문들에 대해 먼저 답을 듣고

그 역사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찾아보게 될것 같다.


제일 처음 책에서 나오는 차례를 보면 어떤 이야기들이 나오는지 우리가 흔히 들었던 단어들에 대해서 풀어 나간다.

그 단어들이 이야기 속으로 들어오게 되면 아이들이 그 단어를 이야기와 함께 기억하기 쉬워지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하나의 주제를 살펴보자면 ..

조선이 얕잡아 부르는 말이었다고요?

이런 질문을 서두로 던지고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이 책을 아이와 함께 읽으면서 그냥 무심코 지나쳤던 사실들이

일제의 잔재였거나 우리나라를 비하하는 것들이였다니..

놀라웠다.


아이들에게는 더 새롭고 역사를 배울때 더 흥미롭게 하는 요소들이 될것 같다.






경복궁안에 조선총독부라니..

지금은 볼 수 없는 건축물이나 사진 자료들이 함께 실려있어 이해를 돕는다.








아이랑이 우리나라 최초의 금지곡이라고요?

남산아래 들어서 우리나라 최초의 백화점은?


등등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재미있는 역사들이 기다리고 있다.


아이가 흥미로워했던 학교종이 땡땡땡과 쎄쎄쎄에 얽힌 역사이야기들도 재미있어했다.

근대사를 배우면 아이들은 좀더 애국심이 커지는 듯하다.


지금도 뉴스에서 나오는 수요집회나 신사참배등의 이야기들을 함께 생각해보며 

근대사와함께 현재도 우리나라가 풀어야할 숙제나 깨달음들을 생각해 볼 수 있을것 같다.


저학년이라서 아직 역사에 대해서 많이 알지 못해 흐름에 대한 정리가 되지는 않았지만

주제별로 함께 생각해보고 느껴보는 것들이

알차고 뜻깊었던 시간이였다.






박물관에 가면 이제는 그냥 지나치지 않고 유물들을

관심깊게 바라볼 수 있는 마음이 생기지 않을까 기대해보며

마지막 페이지의 사진들과 설명을 살펴본다.  




 

​마지막 페이지의 연대표. (근대사)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질문들에 대한 이야기가 재미있게 풀어져 있어서 재미있게 역사 공부를 할 수있었다.

역사의 흐름을 쭉 살펴보는 책은 아니지만

역사에 대해서 제대로 알아야 하는 주제들에 대해서 설명 되어있고

흥미로운 주제들로 인해서 그 부분에 대해 더 알고 싶어지는 궁금증을 생기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만들자 9 : 로봇 내가 만들자 시리즈 9
삼성출판사 편집부 엮음 / 삼성출판사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내가 만들자- 로봇

책도 보고 책 속의 주인공들을 직접 만들어 놀아볼 수 있어 너무나 좋았답니다. 









책을 살펴보아요. 어떤 책이지? 어떤 내용이 있을까? 

책의 내용을 보고 로봇 5형제와 적들의 로봇중에서 마음에 드는 로봇들을 먼저 만들어 보았답니다. 





  




로봇 만들기는 총 8장이 구정되어 있어요. 

로봇은 12가지를 만들 수 있답니다. 

아이들이 쉽게 뗄 수 있도록 처리되어있고 접기도 끼우기도 쉽게 되어있어요. 









별이가 능숙하게 떼더라구요. 번호도 쓰여있는데 순서대로 책보면서 만들기를 바랬지만... 

별이가 알아서 떼고 조립을 하길래 그냥 순서는 무시하고 만들도록 했어요. 

아이들이 좌절감을 느끼지 않도록 쉽게 떼어지고 쉽게 접히고 쉽게 조립되어 넘 좋더라구요. 






고사리 같은 손으로 하나하나 떼어내며 집중하는 모습이 대견했어요. 

소근육을 길러주고 손과 눈의 협응을 돕고 집중력을 기를 수 있겠어요 ^^






끼우기도 쉽게 되어있어서 아이들이 견고하게 끼울 수 있고 끼우는 과정에서 어렵지 않아요. 

끼우는 모서리 부분과 끼워지는 부분들이 딱 들어맞아서 끼우면서도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요. 

별이는 엄마의 도움 없이 청므부터 끝까지 하겠다고 손도 못대게 하더라구요. 

결국 다 스스로 만들어서 굉장히 쁘듯해 하며 별이가 만든 로봇에 애착을 보이더라구요 ^^

  




4살 하늘이는 아직은 혼자서 하기 어렵더라구요.

제가 많이 도와주었답니다. 

그래도 평면이였던 조각들이 밪춰져서 입체가 되니 신기해하더라구요 ^^

      







다 만들어서는 이렇게 서로 역할놀이를 하며 한참을 놀았어요. 

책대로 나쁜 적들을 만들지 않을거라구요. 

다들 친구래요. 하면서 재미있게 놀았답니다. ^^







다 놀고 난후에 하늘이가 정리해두더라구요. 

무슨 전시회하듯이 용은 위에 있어야한대요. 

그리고 나머지 친구들은 모두 일렬로 줄세워놨네요. 

한가득 로봇이 생기니까 뭔가 뿌듯하고 자랑스러운가봐요. 

전시해봐도 넘 멋지더라구요 ^^









아이들이 스스로 만들어서 애착을 갖고 놀이 할 있었어요. 

성취감을 느껴보고 조립을 하면서 소근육과 집중력등을 기를수 있었답니다. 

다른 시리즈들도 꼭 만나보고 싶어져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법변신! 아이돌프린세스 리틀프릿 럭셔리 코디놀이
서울문화사 편집부 엮음 / 서울문화사 / 2011년 9월
평점 :
품절







리틀프릿 럭셔리 코디놀이 책은..



투니버스에서 인기리에 방영중인 '마법변신! 아이돌프린세스 리틀프릿'의 멤버들을 멋진 무대와 멋진 대기실 등등의 방에 예쁜 옷으로 다양한 소품으로 코디하며 놀이하는 스티커 책이예요.



19벌의 의상스티커로 예쁜 언니들을 꾸며줄 수 있어요. ^^ 다양한 소품또한 여자 아이들의 시선을 사로잡네요. ~







코디놀이를 재미있게 하는 방법이 소개되어있어요.



스티커가 끈적이지 않아서 좋아요.

다시 또 붙이고 다시 떼고 다시 붙이고.. 한번 붙이고 끝나버리는 스티커책과는 차원이 다르답니다.

실수로 붙여도 다시 떼서 다시 붙이면 되니까 아이들이 좌절감도 느끼지 않아요.

자신있게 꾸며보고 부정하며 놀 수 있어요 ^^



혹시 스티커가 먼지등으로 잘 붙지 않을때는 물로 살짝 씻어서 말렸다가 다시 사용하면 되요 ~ 참 쉽죠? ^^







리틀프릿의 주인공들을 살펴보아요. 예쁜 언니들이 나오면 너무나 좋아하는 별이랍니다. ^^

별이는 사과공주가 제일 좋답니다.





스티커를 뗄때는 종이를 살짝 들면서 스티커를 분리하면 쉽게 떼어져요.

몇번 해보더니 알아서 떼네요. ^^






책에 다가 척척 붙여봅니다.

우선 속옷 입은 공주부터 위치를 잡아봐요 ~~







공주 위에 옷도 코디해보고

여러가지 소품들도 예쁘게 코디합니다.

몸위에 옷을 덧붙이고 또 소품들을 덧붙여도 스티커들이 잘 붙어요.

고사리 같은 손으로 위치를 맞춰가며 튀어나오지 않게 손과 협응해서 완전 집중해서 붙이네요.

집중력과 소근육에 도움이 되겠어요 ^^






여러가지 옷으로 갈아입혀 보아요.

떼었다 붙였다 자유로우니 생각의 표현도 자유롭네요.

여러가지 코디도 해보고 실수해도 좌절하지 않고 또 붙여보고.. 수정하고.. 성취감이 높아져요







같은 색으로 통일감을 주는 센스~~

와우~~ 예쁘게 코디 되었네요.

은근 센스쟁이 별이네요 ^^





여자아이라면 너무나 좋아하는 리틀프릿 코디놀이랍니다.

어렸을때 제가 즐겨하던 종이인형놀이가 생각나네요.

여려자기 옷을 갈아입히며 끼우고 떼고 했었는데..

이렇게 간편하게 옷갈아입히기 놀이도 하고 여러가지 소품도 손쉽게 꾸밀 수 있어서 넘 좋아요.



꼼꼼하게 위치 맞추며 놀이하다 보면 소근육이 발달하고 집중력이 향상 될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