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여성해방론 - 콜론타이·체트킨·레닌·트로츠키 저작선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외 지음, 정진희 엮음 / 책갈피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 억압의 기원과 여성 억압이 가부장제에서 기원됐는가에 대해 답을 찾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마불사 - 금융위기의 순간 그들은 무엇을 선택했나
앤드루 로스 소킨 지음, 노 다니엘 옮김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역사적 사건이나 일상적인 사건을 이야기할 때 흔히들 두 가지 다른 질문을 하게 된다. 첫째로 그 사건이 나와 직관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있을 때에는 “왜 하필 나한테 이런 일이 벌어졌는가”라는 질문을 한다. 두 번째로 일어난 사건이 나와 직관적으로 무관하다고 여길때에는 “왜 그 사건이 그 사람에게 일어났을까”라는 질문을 한다. 이런 이야기들을 통해 추측성 근거들이 난무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흥미를 유발한다. 특히 그것이 자신의 주변 일이 아닌 범접할 수 없는 사건인 경우에는 더욱 더 말초신경을 자극한다. 
 


사실 이 두 질문은 주체를 나에 두느냐 아니면 타인에게 초점을 맞추냐에 따른 문제이지 결국은 같은 질문이다. 두 질문은 사건을 해석할 때 행위자의 ‘우연성’을 강조한 것이다.

 

<대마불사>는 2008년 금융위기가 다가 왔을때 월스트리트의 금융계와 워싱턴의 정치인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라는 질문으로 구성된 책이다. 결국 금융위기를 정책입안자들과 금융인들의 주관적인 행위를 중심으로 다룬 것이다. 저자의 질문 중에 하나가 “재무성이 리먼을 구하지 않고 AIG를 구한 이유는 무엇인가”이다.

만약 독자가 두 번째 질문자-금융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당사자가 아닌 경우-라면, 정책결정자들 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고 그들은 무엇을 고민했는가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장점이다. 다시 말하면 이 책은 정책결정자들의 행위의 폭을 관찰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읽어볼 가치가 있다. 

 다만 사건을 분석할 때 우연성‘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 행위의 외부에 존재하는 역사적/사회적 법칙이 존재한다. 인간 행위와 독립된 자연 법칙이 존재하듯이 사회법칙이 존재한다. 사회법칙 내에서 인간의 우연성이 결합될 때 역사는 일면적 해석이 아닌 종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대마불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되새기면서 금융위기에 대한 정책결정자들의 의사결정과정을 추적해야 한다. 금융위기는 피할 수 있는 위기인가? 만약 현 경제적 시스템 안에 피할 수 없는 위기라면 2008년 월스트리트와 워싱턴이 결정할 수 있는 정책의 한계는 어디까지 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르크스의 생태학 - 유물론과 자연
존 벨라미 포스터 지음, 이범웅 옮김 / 인간사랑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번역서에 몇 군데의 오역이 보이네요~ http://cafe.naver.com/ahrae 참조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10-20 07: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글로벌 트렌드 2025 - 변모된 세계 한울 글로벌 트렌드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NIC)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으로 다가올 시대의 새로운 초국가적 의제가 될 자원확보, 특히 에너지원을 둘러싼 지정학적 분쟁이 <<글로벌 트랜드 2025>>의 핵심이다.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작성된 보고서는 2025년의 국제체제는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국력 차이가 지속적으로 축소되면서 세계적 다극체제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례 없는 세계경제 성장은 에너지와 식량, 물 등 전략적 자원의 수급 문제를 가중시킬 것이다. 이와 더불어 기후변화는 자원 부족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이념적 분쟁은 자원 분쟁 등의 새로운 분쟁 유형으로 전환 될 것이다. 특히 비국가적 행위자 및 네트워크의 힘의 증가로 인해 국제무대의 행위자들의 다양성이 촉진됨으로써 복잡한 국제체제가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객관적인 국제사회의 불확실성은 주관적인 영역인 리더십의 역량 발휘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보고서는 국제적인 충돌 가능성의 지역으로 중국과 인도, 러시아, 중동을 주목한다. 기후변화의 최대 수혜국인 러시아의 북극 개발은 천연가스와 석유 확보에 우위를 차지할 것이고 이로 인해 에너지 충돌은 예상된다. 또한 친미 경향을 인도가 띈다면 중국과의 에너지 생산과 수송에 있어서 충돌은 커질 것이다. 에너지원을 둘러싼 지정학적 분쟁을 강조하고 많은 부분을 할애한 보고서의 국제관계의 분석은 남북한의 관계를 협소한 이해관계로 분석한 국내적 시각을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예의주시할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로벌 트렌드 2025 - CIA·FBI·NIC 미 정보기관의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NIC) 지음, / 예문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앞으로 다가올 시대의 새로운 초국가적 의제가 될 자원확보, 특히 에너지원을 둘러싼 지정학적 분쟁이 <<글로벌 트랜드 2025>>의 핵심이다.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작성된 보고서는 2025년의 국제체제는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국력 차이가 지속적으로 축소되면서 세계적 다극체제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례 없는 세계경제 성장은 에너지와 식량, 물 등 전략적 자원의 수급 문제를 가중시킬 것이다. 이와 더불어 기후변화는 자원 부족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이념적 분쟁은 자원 분쟁 등의 새로운 분쟁 유형으로 전환 될 것이다. 특히 비국가적 행위자 및 네트워크의 힘의 증가로 인해 국제무대의 행위자들의 다양성이 촉진됨으로써 복잡한 국제체제가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객관적인 국제사회의 불확실성은 주관적인 영역인 리더십의 역량 발휘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보고서는 국제적인 충돌 가능성의 지역으로 중국과 인도, 러시아, 중동을 주목한다. 기후변화의 최대 수혜국인 러시아의 북극 개발은 천연가스와 석유 확보에 우위를 차지할 것이고 이로 인해 에너지 충돌은 예상된다. 또한 친미 경향을 인도가 띈다면 중국과의 에너지 생산과 수송에 있어서 충돌은 커질 것이다. 에너지원을 둘러싼 지정학적 분쟁을 강조하고 많은 부분을 할애한 보고서의 국제관계의 분석은 남북한의 관계를 협소한 이해관계로 분석한 국내적 시각을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예의주시할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