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랑캐가 그립다 - 다언어, 다문화 시대를 사는 삶의 뉴 패러다임
김경일 지음 / 바다출판사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역시 기존의 생각을 뒤집고 재고해 보게 만들어야 관심을 갖게 된다. 아마 제목에 모든것이 함축되는 것이 아닐까? 지난번 공자가... 도 우리가 당연히 여기던 생각들의 맹점과 파급효과를 보여준 점에서 획기적이라 생각했는데, 이 책도 그런 부분이 많다.

이런 논의를 발전적으로 계속하자는 의미에서 생각나는 것들을 한번 적는다.

1. 오랑캐로서의 가치관
오랑캐 또는 뙈놈이라는 말속에 포함되는 것 중 하나는 야만인, 윤리를 모르는, 질서를 부정하는 등의 의미가 함축된다. 물론, 기존질서에 대한 파격이 전제가 되어야 새로운 시대를 헤쳐나갈 수 있겠지만, 모든 질서를 무시하고, 야만으로 되돌아 가자는 것은 아닐 것이다. 오랑캐정신에서 전정신, 실용주의, 생명력등의 받아들일만한 정신에 대비되는 버려야할 정신은 무었일까?

원나라나 금나라, 청나라 등이 불과 얼마 지나지 않아서 오랑캐정신을 모태로한 지배층문화가 중국문화에 흡수되면서 생명력을 상실해버리고,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한 후 얼마되지 않아 기동성을 상실해버린 이유에 대해서도 고찰해 주었으면 좋았겠다.

2. 한국사회에서 기독교의 의미
저자는 영어를 통해 우리나라가 중국의 예속으로 부터 벗어났다고 했다. 영어가 그런 역할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영어, 즉 영어권의 근간이 되는 기독교정신이 우리나라에 와서 미친 영향을 저자는 간과하고 있다. 지금 많은 욕을 먹고 있지만 그래도 가장 정직하고 바람직한 종교집단은 기독교라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기독교도 그동안의 '외도'로부터 '공의와 정직'이라는 본래의 사명으로 많이 돌아서고 있다. 기왕에 하시는 일을 200년 전의 천주교의 순교, 100년 전 기독교 전파등의 효과까지 검토해 주시면 좋겠다.

3. 책 내부의 논리적 모순
이런 종류의 책이 가진 어쩔수 없는 함정이 자기모순이다. 오랑캐로서의 '속도'와 미국 수학교육에서 '과정'의 중요성을 모순이 되지 않도록 정리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고의 총리 최악의 총리 - 정두언의 행정평론집
정두언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정말 공무원 내부가 그랬었구나.. 그렇게 많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었구나.

그러나 사소한 고발은 많지만 비젼으로 묶어내지를 못하는 것은 이런 종류의 글들의 거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얼마전에 행정자치부장관의 책 '공무원이 ....' 도 마찬가지다. 하나하나의 에피소드로 만족하기에는 책값이 너무 비싸고, 무언가 동의할 수 있는 비전이나 가치간을 기대하기에는 공허함이 있다.

이런 한계가 공무원으로서 제한되어버린 시야에 근거한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나같은 사람들은 독자서평을 보고서 사는 사람이니 만큼, 혹시 다음에 사실분에게 도움되고자 몇 자 적는다.

1.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
과연 이총재의 총리로서의 재임기간은 치적으로만 이야기 할 수 있을까? 더우기, 그때의 평가를 지금 현재의 이총재에 대한 것으로 연장시킬 수 있을까?

2. 국세청 담당자가 반대하던 에피소드
이것이 당연한 것 아닌가? 몸보신을 했다 하더라도 권력의 압박을 이겨낸 담당자에게 더 점수를 줘야 되는게 아닌가? 잘못된 것이 있으면 법을 고쳐서 반영해야지.

3. 공무원의 부패에 대한 태도
저자는 공무원의 부패와 기업의 부패에 대한 차이도 모른다. 기업의 부패는 궁극적으로 그 기업이 책임지고 파급효과도 그 주변에 국한되지만, 공무원의 부패는 질이 다르다. 국가돈을 국민의 돈을 착복하는데 끝나는 것이 아니고 시스템을 왜곡시킨다. 얼마전까지 공무원봉급이 적어서 부정부패에 쉽게 넘어간다는 것보다 더 크다. 이거 이렇게 말하면 안된다. 다른 공무원도 비슷한 생각일까 겁난다.

4. 공무원은 시키는 대로 해야지...
정말 규정대로, 원칙대로, 시키는대로만 해주라. 대부분의 허가가 '예외규정'을 통한다고 들었다. 그리고, 틀린것을 묵묵히 시행하는 것은 책임회피다. 대안을 먼저 내놓지 않는 것도...

이분 정말로 이 책에 쓰인대로 생각할까 두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