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
송복 지음 / 시루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임진왜란, 이순신을 만든 육지의 리더 류성룡

 

 

현시대의 리더의 모습이란.

리더란 무엇일까? 바다 한가운데 기울어져 가는 배를 보며 그 속에 남아있는 승객들을 버려둔 체 자신만 밖으로 나온 선장을 우리는 리더라고 부를 수 있을까? 현 사회의 리더의 모습은 최근 안타까운 사건에 인해 어둠 속에 가려져 있던 이기적이고 쓸모없는 리더의 모습이 세상 밖으로 드러났다. 우리는 리더의 개념과 책임감을 잊고 물질적인 사욕에 사로잡혀있는 껍데기만 리더라는 이름표를 단 사람들 밑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리더다운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왜 류성룡인가.

이 책은 온몸을 바쳐 우리나라의 땅을 지켜낸 역사 속의 인물. 류성룡에 관한 이야기이다.

저자는 리더십 연구 목적으로 <서애 류성룡 위대한 만남>을 발간한 후 더 많은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기존의 한자가 많고 학술적인 <서애 류성룡 위대한 만남>을 제목과 구성을 새롭게 편집해 한글 위주로 다시 개정판인 <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로 출간하게 되었다. 저자는 말한다. “우리 시대가 다시 류성룡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국민은 자신을 바치는 리더에 감동하는 법이고 그런 리더가 이끄는 나라는 강해지지 않을 수 없다고, 더 나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라고.”

 

 

임진왜란의 정직한 기록.

류성룡이 말하는 임진왜란은 왜와 명의 전쟁이다. 그럼 조선이라는 나라는 그 사이에서 무엇이였는가. 바로 전쟁터이다. 독자적으로 침략군에 맞설 힘이 없는 나라, 그래서 가장 피동적으로 전쟁터가 되어버린 나라, 그것이 조선이다. 자기네 나라 자기네 백성이 사는 자기네 영토 안에서가 아니라 남의 나라 남의 백성을 죽이고 괴롭히며 하는 전쟁이 바로 임진왜란이었다.

부끄럽지만 이것은 명백한 사실로서의 역사이다. 이러한 사실을 정직하게 기록한 류성룡의 <징비록>은 우리의 가슴을 한없이 떨리게 하고 한없이 아프게 한다. <징비록>징비는 지난 잘못을 경계하고 삼가라는 일종의 경고라는 뜻이다. 임진왜란 전쟁 후 7년간 징비록을 쓰며 후손에게 교훈을 전한 류성룡은 부드럽지만 굳은 것을 제압하는 유능제강의 리더로 이 책은 류성룡을 소개하고 있다.

 

 

조선의 숨은 리더였던 류성룡. 있는 그대로의 모습,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기록한 징비록.

우리는 이 두 가지 역사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며, 그들의 경험을 지난날의 교훈과 미래의 징표로 삼아 발돋움해서 앞으로 우리의 모습을 꾸려나가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