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논어를 읽다 - 삶의 변곡점에서 시작하는 마지막 논어 공부
조형권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논어를 읽다” 책 제목이 표지에서부터 눈길을 확 끈다.

누구나 세상을 살면서 한 번쯤은 자신의 인생을 뒤돌아볼 시간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감정을 갖는 경험들이 종종 있을 것이다. 일생을 살아가면 희,노,애,락은 필연적으로 겪는 감정이며, 자연에는 춘하추동의 사시사철이 있듯이 사람도 생로병사 과정을 숙명처럼 안고 살아간다.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책을 통하여 간접경험으로 삶의 지혜를 터득하고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선현의 가르침을 통해 불필요한 방황을 줄이며 보다 나은 행복한 삶을 살 수도 있다. 속도의 시대인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는 앞만 보고 달려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어느 시점에 들어서면 지금까지 내가 과연 잘 살아왔는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하는 근원적인 물음에 서게 될 시기가 온다. 삶에 질문이 가득할 때 논어에서 단 한 문장이라도 가슴에 새기고 실천한다면 인생의 해답을 얻을 수 있다고 이 책의 저자는 말한다.


공자가 평생 염원하고 가르쳤던 인(仁)과 예(禮)에 기반한 도덕정치는 바로 사랑이다. 임금이 신하와 백성을 사랑하고 신하와 백성도 임금을 존경하고 사랑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쓸데없는 전쟁, 무거운 세금 등은 자연스럽게 없어지고 다들 요순시대의 태평성대를 외칠 것이다. 왕권 시대에서 주권 재민 시대로 대치한 현재에도 인과 예에 기반한 도덕정치는 우리가 지향해야 할 목표라고 본다. “삶의 변곡점에서 논어를 읽고 다시 일어서다"라는 제1장 태도(態度) 길은 내 안에 있다. 제2장 배움(學習) 파도를 읽으려면 바다를 알아야 한다. 제3장 관계(關係) 우리는 사람을 통해 넓어지고 깊어진다. 제4장 성찰(省察) 멈춰서 돌아보라. 제5장 실천(實踐)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로 구성된 장별로 한편씩을 따로 떼어 읽어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공자의 수제자 안연이 인(仁)에 대하여 묻자 공자는 ‘극기복례(克己復禮)’를 강조했다. 개인적인 욕망과 욕심을 극복하고 예의범절, 즉 도덕적 사회질서와 사회 규범을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욕심은 ‘분수에 넘치는 것을 탐하는 마음’을 일컫는다. 거짓으로 남들에게 잘 보이고 싶은 허영심, 남이야 어떻게 되든 내 것만 챙기려는 이기심 등이 그러한 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해관계로 맺어지고 이익이 우선되는 현대를 살아가야 하는 우리에게 욕심을 버리고 이타적인 삶을 살도록 강요하는 것은 불가하겠지만 개인적으로 자신만의 삶을 위해 욕심으로 사는 것은 꾸준히 경계해야 할 것이다.


‘매일 나 자신을 복기한다’라고 증자는 말했다. “나는 하루에 세 번 나 자신을 반성한다. 남을 살피는 데 진심을 다했는가? 친구와 사귀는 데 믿음을 주었는가? 배운 것을 습득했는가?” 충(忠), 신(信), 습(習) 증자가 이야기한 세 가지 반성을 마음에 새겨야겠다. <논어>를 읽고 필사하고 그 내용을 되뇌는 것도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단 한 구절이라도 실천하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책을 읽었다 해도 실천으로 이어져 나를 바꾸지 않으면 제대로 읽은 것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책의 주옥같은 구절들을 한 구절씩 마음에 새기고 꼭 실천하며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절실히 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는 이는 좋아하는 이만 못하고 좋아하는 이는 즐기는 이만 못한다.” “지지자(知之者) 불여호지자(不如好之者) 호지자(好之者) 불여낙지자(不如樂之者).” 현재를 즐기는 것이야말로 지혜로운 삶이다. 반복된 일상에 다소 무기력해지고, 삶의 원동력을 잃은 듯한 느낌이 근래에 들었는데, 수동적인 노력이 아닌 보다 적극적인 노력으로 타인의 가치관에 끌려다니지 않고 내 인생을 주도적으로 이끌면서 내가 하는 일을 즐기기 위한 노력을 하는 삶을 살아가야겠다. 그리고, 종종 시간을 내어 피 말리는 경쟁 사회에서 삶에 대한 본질적인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고전, 역사, 인문 책을 곁에 두며 끊임없이 발전하는 인간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