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로 산다는 것 - 융 심리학으로 보는 남성의 삶과 그림자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남자로 사는 게 지긋지긋할 때가 있다'라는 생각을 가지며 일과 가족을 위해 해야 할 일을 다했으나 정작 자신의 삶을 사는 일을 잊었던 사람들이 읽어보면 좋을 책이었다.


남자로 산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기 전에 과연 내 주변의 남성들은  어떻게 살아왔으며, 어떻게 스스로를 바라보는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남자의 역할에 대한 숙명이나 사명감을 자각하기보다는 그냥 맡은 바 자기 역할을 성실히 하며 아들로서, 형제로서, 연인으로서, 아버지로서, 대부분의 남자들은 삶을 살아오지 않았을까 한다.

지금의 시대는 양성평등, 미완이지만 어느 부분에서는 여성 우월화되는 사회로 접어들었지만 기성세대를 살아온 남자들의 삶은 남자들의 힘의 우위를 바탕으로 유교주의의 전통에 따른 남존여비 사상으로 남성 중심으로 교육과 경력 면에 있어서 남성들에게 우선권이 있었고 남성들은 그 혜택을 충분히 누렸다고 본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여성이 꾸준함과 섬세함으로 동등한 선상에서 출발하여도 남성을 능가하는 능력을 갖춤에 따라 오히려 남성이 여성에게 약자가 되는 모계사회의 전형처럼 여성의 보호를 받는 존재로 입장이 바뀌어 가고 있다.



책 중에 인상 깊었던 부분은 남자들이 결코 말하지 못하는 것들로 남성의 근원적 공포는 크게 두 가지라고 한다. 하나는 기대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공포, 다른 하나는 물리적/심리적 시련에 대한 공포다. 안타깝게도 남성들은 자신이 얼마나 공포에 취약한지를 자신에게든 타인에게든 거의 털어놓지 못한다. 하지만 진정한 치유를 위해서라면, 남성들은 자신들의 공포를 더 이상 부끄러워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했고, 남성의 속성(?)에 대해 조금 더 생각해 보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책에서는 남성의 마음속에는 여덟 가지 비밀이 있다고 제시했다.

1. 남성의 삶은 (여성의 삶과 마찬가지로) '남성'이라는 성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기대에 구속되고 지배받는다.

2. 남성의 삶은 근본적으로 공포가 지배한다.

3. 여성성의 힘은 남성의 정신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4. 남성은 '침묵의 음모'와 결탁한 상태다. 자신의 정서적 진실을 억압하는 것이 이 음모의 목표다.

5. 남성은 불가피하게 상처를 입는다. 어머니에게서 벗어나면서부터 어머니 콤플렉스를 극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6. 남성의 삶은 폭력적이다. 자신의 영혼부터가 폭력의 피해자이기 때문이다.

7. 모든 남성은 자신의 아버지, 그리고 '종족 선조'를 향한 깊은 갈망이 있다.

8. 남성이 치유되려면 외부에서 충족시킬 수 없는 무언가를 내면에서 스스로 배워야 한다.

남성이 자신의 영혼을 치유하기 위한 방법은 견디기 힘든 사실들을 의식적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스스로의 고민과 문제점을 타인들과 공유하는 것이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