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테리아 문학과지성 시인선 454
김이듬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의 본능 찾기, 본능의 자유 찾기

    -김이듬의 "히스테리아"

 

 

다라다라

 

 

갈 때까지 가 본다. 김이듬 시집의 시를 모두 읽고 나서 든 생각이며 느낌이다. 웃음 속에서 나는 눈물과 슬픔 속에서 피어나는 웃음이 있다. 울리거나 웃기는 시들이 가득하다. 이것은 동양의 고전적 시론의 입장에서 성공이다. 시를 보고 웃었으니, 시를 보고 울었으니 시의 효용에 값한 것이다. 김이듬의 시를 읽으면 자유, 자유, 하는 소리가 들린다. 자유로 가는 길은 일상 속에서 드러나 시인의 본능적 대응에서 대부분 드러난다. 드러남의 속성은 쾌감을 동반하고 있다. 신선한 환기가 일어나며 새로운 향기다, 라는 동의가 든다.

 

 

 

아 어쩐다, 다른 게 나왔으니, 주문한 음식보다 비싼 게 나왔으니, 아 어쩐다, 짜장면 시켰는데 삼선짜장면이 나왔으니, 이봐요, 그냥 짜장면 시켰는데요, 아뇨, 손님이 삼선짜장면이라고 말했잖아요, 아 어쩐다, 주인을 불러 바꿔달라고 할까, 아 어쩐다, 그러면 이 종업원이 꾸지람 듣겠지, 어쩌면 급료에서 삼선짜장면 값만큼 깎이겠지, 급기야 쫓겨날지도 몰라, 아아 어쩐다, 미안하다고 하면 이대로 먹을 텐데, 단무지도 갖다 주지 않고, 아아 사과하면 괜찮다고 할 텐데, 아아 미안하다 말해서 용서받기는커녕 몽땅 뒤집어쓴 적 있는 나로서는, 아아, 아아, 싸우기 귀찮아서 잘못했다고 말하고는 제거되고 추방된 나로서는, 아아 어쩐다, 쟤 입장을 모르는 바 아니고, 그래 내가 잘못 발음했을지 몰라, 아아 어쩐다, 전복도 다진 야채도 싫은데

- 「사과 없어요」 전문

 

 

 

 

시인은 왜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거는 걸까? 왜 목숨을 걸고 사소한 것을 거대한 문제로 환원하려할까? 그 목숨은 시와 바꾼 시인의 시공간이다. 시인의 그 재능의 근원은 어디에서 올까? 언어에 대한 통찰력일까! 이런 질문과 답을 하면서 우리는 사과가 없는 한 편의 장면을 보여준다. 말은 소통의 수단도 되지만 시인에게는 제거와 추방의 원인이기도 했다. 말은 두려운 존재다. ‘내가 잘못 발음했을지’도 모른다고 주문을 걸고 있다. 타자의 고집은 나의 불행인데 그 불행을 시인은 모두 짊어지려하는 순간에 있다. 사과는 없었다. 문든 에덴의 선악과였던 사과가 생각난다. 에덴에 사과가 없었다면 어땠을까 생각한다. 제거와 추방이 없는 성경을 만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발음 때문에 안절부절 하는 시간을 싹둑 자를 모의가 보인다.

 

 

 

 

진주에 기생이 많았다고 해도 / 우리 집안에는 그런 여자 없었다 한다 / 지리산 자락 아래 진주 기생이 이 나라 가장 오랜 기상 역사를 갖고 있다지만 / 우리 집안에 열녀는 있어도 기생은 없었단다 / 백정이나 노비, 상인 출신도 없는 사대부 선비 집안이었다며 아버지는 족보를 외우신다 / 낮에 우리는 촉석루 앞마당에서 진주교방굿거리 춤을 보고 있었다 / 색한삼 양손에 끼고 버선발로 검무를 추는 여자와 눈이 맞았다 // 집안 조상 중에 기생 하나 없었다는 게 이상하다 / 창가에 달 오르면 부푼 가슴으로 가야금을 뜯던 관비 고모도 없고 / ... / 국란 때마다 나라 구한 조상은 있어도 기생으로 팔려 간 딸 하나 없었다는 말은 진짜 쓸쓸하다 // 내 마음의 기생은 어디서 왔는가 / 오늘 밤 강가에 머물며 영감(靈感)을 뫼실까 하는 심정은 / 영혼이라도 팔아 시 한 줄 얻고 싶은 이 퇴폐를 어찌할까 / 밤마다 칼춤을 추는 나의 유흥은 어느 별에 박힌 유전자인가 / 나는 사채 이자에 묶인 육체파 창녀하고 다를 바 없다 // 나는 기생이다 위독한 어머니를 위해 팔려 간 소녀가 아니다 자발적으로 음란하고 방탕한 감정 창녀다 자다 일어나 하는 기분으로 토하고 마시고 다시 하는 기분으로 헝클어진 머리칼을 흔들며 엉망진창 여럿이 분위기를 살리는 기분으로 뭔가를 쓴다 // 다시 나는 진주 남강가를 걷는다 유등 축제가 열리는 밤마다 취객이 말을 거는 야시장 강변이다 다국적의 등불이 강물 위를 떠가고 떠내려가다 엉망진창 걸려 있고 쏟아져 나온 사람들의 더러운 입김으로 시골 장터는 불야성이다 // ... // 눈앞에서 마귀가 바지를 내리고 / 빨면 시 한 줄 주지 / 악마라도 빨고 또 빨고, 계속해서 빨 심정이 된다 / 자다가 일어나 밖으로 나와 절박하지 않게 치욕적인 감정도 없이 / 커다란 펜을 문 채 나는 빤다 시가 쏟아질 때까지 / 나는 감정 갈보, 시인이라고 소개할 때면 창녀라고 자백하는 기분이다 조상 중에 자신을 파는 사람은 없었다 ‘너처럼 나쁜 피가 없었다’고 아버지는 말씀하셨다 / 펜을 불끈 쥔 채 부르르 떨었다 / 나는 지금 지방 축제가 한창인 달밤에 늙은 천기(賤技)가 되어 양손에 칼을 들고 춤춘다

- 「시골 창녀」부분

 

 

 

 

결론부터 말하면 시인은 기생도 아니고, 창녀도 아니다. 시인은 시인이다. 이 단순명제가 결론이다. 시인은 시인이다, 라는 명제가 싱겁고 단순하다 보니, 시인을 여러 상황 속에 던져서 시인이 생각하고 꿈꾸는 현실의 새로운 시인을 다시 창조하는 것이다. 이 시는 그 창조되는 시인에 관한 시다. 영혼을 팔아 시를 산다는 것은 과장이다. 영혼의 실체부터 따지자면 끝이 없으나 시인의 ‘감정 갈보’라는 자기 확인은 자극적이며 적극적이다. 이는 자신의 집안 내력과는 다른 길을 시인이 걷고 있다는 고백이다. 자기 파괴적인 ‘나쁜 피’에 다다르면 시인은 시공을 초월하여 칼춤을 추는 장면 속으로 흡수 되니, 이 시는 타임머신에 타고 있음이 분명하다.

 

 

 

 

요가원에 등록했다 인도에서 수련하고 온 선생은 정갈한 수도승 같은 인상이다 옴 샨티 낮고도 맑은 목소리가 좋다 눈을 감고 마음을 바라보라고 한다 그럴 때마다 내겐 갖가지 생각이 떠오른다고 하자 차차 잡념을 버리게 될 거라며 웃는다 웃는 미간 사이에서 밝은 빛이 퍼져가는 듯하다

 

 

 

며칠 후 지하철 역에서 선생을 봤다 감색 요가복 대신 가죽점퍼에 청바지, 상투처럼 묶었던 머리칼을 풀어 내리고 있다 무언가에 짜증 난 표정이다 그저 그렇다 평범하고 너무나 평범한 행인이다 화장이 진해서인지 그 빛나던 밝은 빛이 보이지 않는다 나는 그녀가 더 좋아진다

 

- 「잡스러워도 괜찮아」 부분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면 성속일여(聖俗一如)가 될 것이다. 이 시는 성속일여의 다른 버전이다. 요가 선생의 ‘정갈한 인상’도 좋고, 지하철역에서 본 ‘평범한 행인’은 더 좋다. 상대적으로 제목인 ‘잡스러워도 괜찮아’와 ‘그녀가 더 좋아진다’ 사이에는 서술적 차이는 분명하지만 시 속에서는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 많은 시를 읽으면서 늘 확인하는 부분이지만, 시인은 논리와 거리가 먼 존재라는 점이다. 시인은 본능과 분위기 그리고 자유와 감성에 가까운 존재다. 그래서 이성은 쫓겨나며 논리는 파괴되고 법망이 만들어 놓은 족쇄와 수갑은 풀리며 딱딱한 가슴은 녹는 것이다. 이것이 시의 효용이며, 기능이다. ‘잡스러워도 괜찮’은 너그러운 마음이 시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