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를 다닐 수도, 떠날 수도 없을 때 - 내면적 자기퇴직 증후군에 걸린 직장인 마음 처방전
박태현 지음, 조자까 그림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회사를 다닐 수도, 떠날 수도 없을 때》 라니요. 누군가에게 당신을 소개해 보세요,라고 한다면 먼저 자신의 직업을 이야기할 것입니다. 그만큼 직장에서의 행복은 인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직장에서의 생활이 불행한다면? 조직에서 일하면 누구나 스트레스를 받고 어딘가 나를 인정해 줄 새로운 곳을 찾고 싶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이직하는 게 쉽지는 않죠. 에 따라 어느 조직을 가더라도 또라이는 있으니까요. 남을 수도 떠날 수도 없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책에서 회사원인 주인공이 그의 멘토에게서 마음코칭 받는 이야기를 통해 그 해결책을 알아봅니다.



 

N년차 회사원, 최근 승진을 했지만 하루에도 몇 번씩 회사를 그만 둘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조직을 떠나 학교로 이직 한 친구와의 술자리에서 그는 회사 생활이 재미없다며 이직하고 싶다 이야기합니다. 그러던 중에 희석은 회사 승진자 교육에서 샤크라는 독특한 닉네임의 강사를 만나게 됩니다. 멘토와 멘티 사이가 된 그들은 희석의 회사에 대한 상반된 마음ㅡ 너무 힘들어서 그만두고 싶은 마음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떠날 수 없는 마음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눕니다. 멘토인 샤크 강사는 그에게 이라는 진단을 내립니다.

샤크 멘토는 희석의 마음속 네 가지 동물을 찾아 그들의 상태를 관찰하고 보살펴 주자고 합니다. 그 네 마리 동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나귀, 개, 수탉, 그리고 고양이. 이 네 마리 동물들은 각각 상징하는 바가 있습니다.

 

· 당나귀 퍼니 (그 인간 증후군)- 존중

· 강아지 로티 (윗사람 울렁증)- 인정

· 수탉 보이스 (파랑새 증후군)- 욕구

· 고양이 익스퍼 (피터팬 증후군)- 성장

 

이 마음속 네 마리 동물들이 가진 증후군에 대한 치료법을 알기 위해 희석과 샤크는 계속 이야기를 나눕니다. 샤크는 질문을 통해 희석이 스스로 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코치해 줍니다. 각 동물을 만족시키는 처방전을 희석은 노트에 정리해 나갑니다.

 

▶ 퍼니 : 만나는 모든 사람을 손님으로 생각한다. 괴롭히는 사람으로부터 받는 영향력을 최소화한다.

▶ 로티 : 직간접적인 소통 빈도를 높인다. 예상 질문에 대해 준비된 답변을 한다.

▶ 보이스 : 간절히 원하는 일이 있을 때는 그 일을 한다. 간절하게 원하는 일이 뭔지 모른다면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한다.

▶ 익스퍼 : 일할 때 '다르거나 더 낫거나'를 추구한다. 성장(홀로서기)을 위해 나를 알고 부족한 점을 찾아 끊기 있게 실천한다.

 

마침내 희석은 자신의 마음속 '내면적 자기 퇴직 증후군'의 처방전을 들고 승진자 대상 멘토링 프로그램의 결과를 공유하게 됩니다. 원인 모를 혼란과 갈등으로 마음이 지쳐있던 희석은 샤크 멘토와의 만남을 통해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왜 하필 당나귀, 개, 수탉, 고양이일까 했는데 브레멘 음악대에 나온 동물들이라고 하네요!


회사가 재밌으면 돈 내고 다녀야지!


하지만 문제의 원인을 외부 환경 탓으로만 돌려버린다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없어집니다. 그저 원망만 커질 뿐이죠. 우리는 비가 많이 온다고 해서 하늘을 원망하지는 않습니다. 그저 우산을 찾아 쓸 뿐이죠. 날씨가 좋아지기를 기대하면서 우선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먼저 찾아보는 게 바람직하지 않을까요?

중요한 것은 노력의 방향이죠. 노력했는데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다면 그 방향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정답은 항상 주변에 있습니다. 팀에서 팀장으로부터 인정받는 사람이 있지 않나요? 그 사람은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매우 피곤한 삶일 수도 있겠어요. 늘 움직여야 하니….

그럴 수도 있겠죠. 하지만 상어는 결코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겁니다. 항상 움직이는 것은 자신의 신체적 결함을 극복하는 활동이긴 한데 본능적으로 몸에 밴 행동인 것입니다. 오히려 움직여서 피곤한 것이 아니라 움직이지 않으면 피곤해진다는 표현이 더 적합한 표현일 겁니다. 또 그렇게 계속 움직이다 보니 누구보다도 빠르고 다이내믹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갖게 된 것이 아닐까요?

 

 


다음 테스트를 해 보세요.

 

□ 실력이 정체된 느낌이다.

□ '누군가' 때문에 많이 힘들다.

□ 나에게 맞는 다른 일이 있을 것이다.

□ 현재 수행하는 직무를 벗어나고 싶다.

□ 윗사람과 있으면 심리적으로 위축이 된다.

□ 내세울 정도로 잘하는 일이 딱히 없는 것 같다.

□ 일터에서 나를 무시하거나 괴롭히는 사람이 있다.

□ 윗사람에게 나의 생각을 편하게 말하는 게 어렵다.

 

 

 

 

 


이 책은 중앙북스에서 제공받아 저의 주관적인 견해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