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
반디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북한작가가 목숨걸고 밀반출한 원고라는 사실만으로도 큰 관심을 받은 소설 <고발>.

가깝고도 먼 나라 북한. 그곳의 실상을 볼 수 있다기에 더 궁금했던 소설 <고발>을 읽었다.

작가 반디는 무슨말을 하고싶었고 어떤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기에 위험을 감수하고서까지 이 책을 세상에 내놓았을까?

그의 간절함 외침을 외면할수 없었기에 책을 들었다.

 

탈북기, 유령의 도시, 준마의 일생, 지척만리, 복마전, 무대, 빨간 버섯.

총 7편의 단편소설안에 묘사된 북한사회의 모습은 생각보다 더 지독했다.

물론, 요즘엔 극내에 자리잡은 탈북자들의 수도 많고 그들이 방송에나와 북한의 실체를 많이 까발려주었기에

그들이 어떤모습으로 어떻게 생활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대략 알고있긴 하지만

글로써, 소설속에 교묘히 묘사된 모습으로 마주한 북한은 또 다르게 다가왔다.

마르크스와 김일성의 사진만 보면 경기를 일으키는 아기때문에 창문에 덧커튼을 쳤다는 이유로 추방을 당하고

여행증이 없다는 이유로 위독하신 어머니를 뵈러갈수도 없는 사회.

아니 도대체가 다른도시로 가는데도 여행증이 필요하다는것부터가 이해가 안된다.

고향땅을 밟는데도 목숨을 걸어야만 하는 나라안에서 무슨 희망이 존재할것인가!!!

기차길 경치가 좋으면 기차타고 가다가 도로경치가 좋으면 차로 옮겨타는 수령님의 변덕때문에

가시는길 방해될까 역사안에서 꼼짝도 못하고 통행금지가 해제될때만을 몇날 며칠이고 기다려야하는 불쌍한 사람들...

이것이 현실인지 픽션인지... 애매한 경계안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있는 작가의 심정이 어떠했을까.

목숨을 걸고서라도 이런 비인간적인 삶의 모습을 밖으로 알려야만 했던, 그렇게 세상을 향해 처참한 현실속에 사는

북한주민들의 사연을 전해야만 했던 반디 작가.

같은 하늘아래 사는 같은 민족의 아픔이라 그런가 소설이 현실로 읽혀지는 그런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