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꾸었다고 말했다 - 2018년 제42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손홍규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인가, 해마다 이상문학상을 "무조건" 구입합니다. 이왕이면 적립금이 쌓이는 알라딘에서요.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을 차곡차곡 모으고 읽는다는 것은 책 좀 읽는다는 말을 하려면 기본이죠. 시상 주체가 워낙 잘 알려져 있고, 그렇다고 하면 그런 줄 알고 배우는 마음으로, 또 읽어 두어야 설교자로서 할 말이 끊이지 않는 측면도 있고, 아무리 TV드라마와 영화가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시대라 해도 영상물 보다는 책 이야기, 그것도 이상문학상 수상작 정도는 한번씩 다루어 주는 것도 필요하다 여겨진다 이겁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번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작은 왜 이렇게 읽어지지가 않는지요? 일단은 내게 책 읽는 패턴의 변화와 잘된 작품의 기준이 변하고 있음을 조금은 불편한 충격으로 받고 나 자시의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는 계시(?)는 받아두기로 하겠습니다.

 

대상수상작에 대해서는 무어라 하고 싶은 말이 없고, 문학적 자서전 '절망한 사람' 에서 "눈부시게 어두웠다"는 표현에 밑죽 쫙 긋고 책 윗쪽 귀퉁이를 접어 두었고, "젊은 농사꾼의 열정 같는 게 피식 바람소리를 내며 빠져나가버린 듯했다"는 표현 또한 그렇게 해 두었습니다. 여백에다가는 "파바로티가 죽고 나니 이상하게도 그의 생전의 음반을 듣는데도 뭔가가 피식 빠져나간 듯하지" 라고 썼습니다. 그리고 "무언가에 깊이 절망한 사람은 그 무언가를 깊이 사랑하는 사람과 분간하기가 어렵다" 는 것도 일면 공감이 갑니다.

 

누가 '무서운 신예'라는 수식어를 달아 줬던가요? 구병모 말입니다. 그의 '한 아이에게 온 마을이'는 귀농한 젊은 부인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전하고 있네요. 촌사람들의 세련되지 못한 오지랖으로 인해 쓸데없는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사연들이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그리고 정지아의 '존재의 증명'은 깜박깜박 잊어버리는 것, 그렇게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보여주고 있으니 한번쯤 읽어보고 깜박증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두는 지혜를 얻을 수 있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