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예술 - 소음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침묵을 배우다
알랭 코르뱅 지음, 문신원 옮김 / 북라이프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타고난 성격상 그렇게 말을 많이 하는 편이 아니지만 사회생활을 하면서 어쩔 수 없이 말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도 수많은 소리들로 가득 차 있어서 나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소리의 홍수 속에 휩싸여 있다.

 

수많은 소음 속에서 살다보면 침묵의 순간이 그리워질 때가 있다. 침묵의 순간이 주는 깊은 평안함과 나를 돌아보는 순간이 너무 좋아서이다. <침묵의 예술>의 저자 알랭 코르뱅은 공간을 채운 침묵, 자연이 보여주는 침묵, 종교적인 침묵에 대해 이야기한다.

 

특히 종교적인 침묵, 묵상이라고 하는 침묵에서 많은 깨달음을 얻었다. 교회에 다니기 시작한 이후로 고요한 가운데 기도하는 일이 너무나 은혜롭고 좋았던 기억이 나면서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개인적으로 만났던 침묵의 시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다.

 

물론 침묵이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 저자도 마지막 부분에서 침묵의 폐해에 대해 설명하지만 상황에 따라 침묵이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하지만 침묵의 순간이 주는 유익함이 훨씬 더 큰 것만은 분명하다.

 

침묵을 다시 배우는 일은 나 자신을 되찾는 일!!!

 

이 말이 침묵에 대한 가장 적절한 정의가 아닐까 싶다. 고요한 가운데 자신의 내면 깊숙한 곳을 들여다보는 순간이 바로 침묵을 통해 이루어지니까 말이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마음에 든 문구 하나를 인용하고 싶다.

 

침묵은 고독과 일치하여

침묵이 없으면 고독은 무의미하다.

침묵은 단절, 초연함을 나타낸다.

자아의 망각 조건이요,

육체의 근심을 포기했다는 증거다.

무엇보다도 침묵은 기도 조건이어서

신의 말씀을 들을 준비를 하게 한다.

 

수많은 소리와 소리가 얽힌 세상에서 잠시라도 침묵의 순간을 즐길 수 있는 삶, 그런 삶을 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