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월급쟁이 부자들 가계부 - 쓰기만 해도 돈이 모이는 초간단 재테크
월급쟁이 부자들 카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9월
평점 :
품절


새해를 시작할 때마다 늘 가계부를 써보자고 도전을 해왔어요.

어떤 해는 종이 가계부, 어떤 해는 디지털 가계부.

가장 최근에 잠깐은 <똑똑한 가계부> 앱을 써보기도 했었죠.

그런데 결과는 매번 마이너스.

그러다 보니 의미가 없다는 생각에 아날로그든 디지털이든

항상 중도 포기였죠.

끈기 없음이 드러났나요. ᄒᄒ

                  

그래도 들어올 남편 월급은 한정되어 있으니

지출을 줄이고 적은 금액이나마 저축을 해보고 싶어서

가계부 작성을 고려하고 있었어요.

그러던 중 감사하게도 <2021 월급쟁이 부자들 가계부>를

얻을 기회를 얻게 되었죠.

이 책 <2021 월급쟁이 부자들 가계부>

재테크 다이어리와 소비습관 가이드

그리고 라이프 플래너를 한 권에 모아 놓은 책이에요.

이 책 <2021 월급쟁이 부자들 가계부>

네이버 No.1 재테크 카페 27만 회원의 내공으로 만들어지다 보니

충동적이고 불필요한 ‘낭비’를 막아주는 가이드로서

사용하는 이들이 가계부를 쓸 때 목적과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만들어졌네요.

사실 처음에 저는 책의 표지가 너무나 고급스러워서인지

가계부 쓰는 법을 알려주는 책이라 생각했다가

직접 작성하는 가계부라는 것을 알고

살짝 당황했었어요.ㅎㅎ

하지만 그것은 잠시고

책이 필기하기 좋게

스프링 노트처럼 쫙 펴지게 제본되어 있어서

바로 마음에 들었어요.

                        

이 책 <2021 월급쟁이 부자들 가계부>

지금까지 가계부를 쓰기 어렵거나 가계부를 써도 기대한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이유는

가계부를 쓰는 목표와 가계부를 쓰는 방법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가계부를 쓰는 것은 현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티끌 모아 태산을 쌓기 위한 것이고,

가계부를 쓰는 방법에 있어서는 목표와 피드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일깨워 주고 있어요.

이 가계부는 쓰기를 중도 포기하고 싶을 때

가이드 역할을 하는 책의 앞부분의 내용을 참고한다면

다시 마음을 다잡고 꾸준히 실천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실제로 어떻게 가계부를 작성하는지 샘플이 자세히 나와 있다는 거예요.

그래서 가계부 작성 초보자들도

쉽게 도전할 수 있게 만들어졌어요.

저와 같은 경우는요.

쓰는데 의미가 없게 느껴질 때면

'내가 쓰는 방법이 맞나?'하는 의구심이 들면서

포기하게 되더라고요.

앞으로는 그럴 때면 이 가계부의 샘플을 참고하면서 계속하게 될 것 같아요.

                             

이 책의 또 다른 장점은 가계부 사용 순서를 알려주고

나가는 돈을 줄이는 방법들도 알려주고 있다는 거예요.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알고 있는 내용들일지라도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참 유용한 팁들이 들어 있어요.

                           

저는 그러한 팁들 중에서

수월하게 적합한 금융상품을 고를 수 있는

금융감독원 금융상품 통합 비교공시 사이트

<금융 상품 한눈에>를 알게 되어서 좋았어요.

 

가계부의 일부만 보여드려도 아실 것 같은데,

다른 가계부들과 이 가계부의 차별점은

라이프 플래너 개념이 들어 있다는 점이에요.

자신의 현재의 자산을 파악하고 꼼꼼히 기록하고

분기별로 수입과 지출을 결산하고 피드백을 하면서

더 나은 소비습관을 익히게 만들어진 가계부거든요.

이 가계부는 2020년 11월부터 기록하게 만들어졌어요.

11월까지는 아직 시간이 있으니

이번에는 현재 자산 파악부터 꼼꼼히 체크하고

꾸준히 해봐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어요.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더 나은 소비 생활을 위해

2021년에는 <2021 월급쟁이 부자들 가계부> 작성에

도전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전 해볼랍니다. 도전~!

 

<이 책은 책자람 카페를 통하여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