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웨스 앤더슨 컬렉션
매트 졸러 세이츠 지음, 조동섭 옮김 / 윌북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에서 감명 받은 부분을 실제 삶, 특히 세부적으로는 업무에 있어서 적용해 보려 노력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영화를 좋아해서 샀는데, 사실 이미지 외에는 큰 기대를 하지 않았습니다.

보다보니까..다른 차원에서 작가이자 감독 웨스 엔더슨의 그 나름의 천재성에 감탄을 하면서 보게 된 것 같습니다.

우선 영화 제작까지의 많은 내용은 차치하고, 가장 인상 깊게 읽은 부분과 포인트는 다음 2가지였습니다.

1. 어디서 영감을 얻는가?
2. 노력이 뒷받침 된 천재성의 발현


1번에 대한 대답으로는 다양한 루트가 있겠지만,
소설
(실제로 영화 내용의 전반적인 구조를 따온 액자식 서술 방법도, 슈테판 츠바이크라는 소설가의 서술기법을 따온 것이고 책 내에서도 상당수 분량 소개 되어있습니다.)

미술작품과 다른 영화작품들
(디자인 스케치, 의상을 비롯해 촬영구도와 스토리등 많은 부분을 오마주&벤치마킹)

등이었습니다.

얼마전 어쩌다 어른에서 최진기가 강의하는 걸 보게 되었는데, 현대사회로 진입하면서 발명 보다는 혁신의 중요성과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내용을 들었는데요.
세상에 없던 아예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졌고, 기존 있는 것들의 결합을 통해서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혁신이 더 중요해졌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자신만의 영감을 찾을 수 있는 창구는 한 군데 이상쯤은 만들어 둬야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2번은 여러가지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내용이긴 한데, P101쪽 부터 기술되어 있는 감독만의 세계관 창조를 위한 노력에 대한 부분으로 압축해서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랜드 부다 페스트 호텔이라는 영화 자체가 실제사회를 표현해 낸 것이 아니라, 아예 하나의 새로운 세계관을 창조해낸 것이기 때문에 그에 맞는 공간적 배경의 묘사도 필요했는데요.

읽다보니 예전에 스탠리 큐브릭 감독 전시회에 갔던 게 기억이 났습니다. 천재 감독으로 불려졌던 그에게서 가장 감명을 받았던 건 매 작품마다 뺴곡히 적어두고 정리해두었던 디자인 스케치, 스케줄표를 비롯한 텍스트 문서들이었습니다.

웨스 엔더슨에서도 비슷한 느낌을 받았는데, 영화감독에게서만 느껴지는 노력과 영감에 관련한 특유의 감상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나의 완성된 작품을 위한 보이지 않는 수면 아래의 치열한 노력이 감독만의 사상,철학을 담은 영화들을 더 빛나게 보이게 하는게 아닐까... 내 업무에 있어서의 태도는 어떻게 관철해야 할 것인가..라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