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 - 2021 세종도서 교양부문
김대수 지음 / 브라이트(다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마음의 한계를 넘어서고 싶을때

읽어본다면 도움이 될만한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 을 읽어보았어요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김대수교수님이 알려주는

뇌과학에 대한이야기 

자신의 연구를 바탕으로 가장 쉬운 언어로 사람들에게

따뜻한 조언을 하는 내용이에요





뇌 과학적으로 인생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내가 뇌를 따라다니다가 뇌가 나를 따르게 되는 과정"이라고하네요


뇌를 따르지 않고 뇌가 나를 따르도록 한다는것은

뇌가 스스로 관찰할 수 있는 기능 --> 의식

뇌가 스스로 부적절한 반응을 의식하게 되면

점차 해당오류를 수정하려고 노력한다고 하네요


어릴적 눈을 깜빡이거나 헛기침을 하는 나 자신을

바라볼 수 있게되면 증상이 점차 사라지거나

주식이나 게임등 특정한 본능에 중독된상태를

스스로 벗어나는것도

그런 나를 스스로 관찰하는것이라고 하네요





총 6부로 구성된 책은


* 1부 : 나를 바꾸는 뇌 과학여행

뇌를 따라가지 않고 가르칠 수 있을까?

* 2부 : 뇌가 만들어낸 세상

우리는 어떻게 세상과 만날까?

* 3부 : 몰입의 힘은 내 안에 있다

우리는 어떻게 대상에 끌리고 집중할까?

* 4부 : 욕망을 조절 할 수 있을까?

우리가 목표지향적 행동을 해야하는 이유

* 5부 : 내 안의 창의성 깨우기

창의성은 특별한 재능이 아니다.

* 6부 :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제목타이틀만으로도 내용이 궁금해지고

읽고 싶어지는 내용으로 구성된거같아요




뇌가 아는 느낌을 벗어나 대상에 대한

무지를 깨달았을때 그것에 끌리는 현상은 '호기심'이라고 하네요

호기심은 아이슈타인의 말대로

창의성의 근원이자 모르는것을 깨닫는 지혜의 열쇠라고해요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가득하여 깊이 고민했던 사람들

철학자였다고 하네요


우리가 무엇인가 알고는 있지만

아는것이 무엇인지 모른다는것또한 알고있기에

뇌가 안다고 주장하는것이 무엇인지

주의깊게 살펴봐야한다고 하네요

내가 아는것은 대부분 '느낌'일 뿐이라고 해요


뇌속에 존재하는 욕구채널도

과학적 접근으로 쉽게 설명해주어 신기했어요

뇌의 시상하부는 욕망의 채널이 있어서

성욕,식욕,물욕,안정욕, 공격욕등 본능적인

행동을 만드는 신경이 존재한대요 

이중 하나의욕구가 선택된다면 다른욕구는 억제된다고 하고요


이 욕망의 채널을 돌리는건

뇌의 전전두엽이라고 해요

성공의 기쁨을 주는 보상회로는

도파민신경으로 보상이 주어진 대상,장소,방법등을

기억하는 역할을 한다고 해요

아이에게 일정한 장소와 시간에만 게임을 하게 한다면

오히려 게임에 중독될 확률이 높아지는것도

도파민신경때문이라고하네요


또 눈의 띄는 제목중에 하나는

"공부를 잘하고 싶다면" 

공부하지 말고 공부할 이유를 찾아라

그리고 성적을 잘 받으려면

자기주도형학습은 일부만 맞고

출제자주도형학습을 해야

학생은 선생님의의도를  기업은 소비자의 의도를

파악해야한다고 하네요

구글에서 사람을 뽑을때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는데

'다른사람을 성공시키는 능력'도 평가하는데

이것도 역시 목표자체가 '타자중심'이라 할수 있다고 하네요



책 내용이 뇌 과학적인 내용, 사회와 현실에서

경험했던 내용들 아 ~ 그랬지라는 생각이 드는

쉽게 이해할수있는 내용등이 적절하게 조화가 되어

읽는 내내 다음페이지를 넘겨보고 싶은 생각이

드는 책이여서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