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화 신은 뇌 - 뇌를 젊어지게 하는 놀라운 운동의 비밀!
에릭 헤이거먼. 존 레이티 지음, 이상헌 옮김, 김영보 감수 / 녹색지팡이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아름답게 몸을 가꾸고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하는 이들은 많다. 여름철이 다가오면 젊은이들은 바닷가에서 육체적 자부심을 표현하는 순간을 위해 운동을 한다. 고작 여름철 두 달을 위하여 사람들은 기꺼이 헬스클럽에서 결코 적지 않은 돈을 지불한다. 나이든 사람들이라고 해서 다른 것은 아니다. 다만 그들은 노후의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한다.


보통은 신체의 건강함을 위해 운동을 하는 것이지 "뇌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한다?" "운동으로 뇌를 건강하게 만들 수 있다?" 막연히 생각해보면 몸을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운동을 해야 하며 뇌건강을 위해서는 머리를 자주 써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 상식적인 이야기가 절반만 옳다는 것은 나에게는 놀라운 일이었다.


인간의 뇌는 원래 책을 읽기 위해 혹은 추상적 사유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었다. 뇌의 근본적인 목적은 1차적으로 신체를 자유롭고 정밀하게 움직이기 위한 것이었다. 뇌는 여기서 중요한 사령탑을 맡고 있다. 따라서 신체를 단련할수록 뇌도 건강해진다. 운동을 통해서 정신과 육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학교에서는 오히려 체육 수업이 줄어들고 있다. 공부하는 시간을 늘리기 위해 과도하게 체육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한국은 높은 점수를 받고 있지만 핀란드 학생이 투자한 시간에 두배를 투입하는 것을 보면 정말이지 비효율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답은 간단해졌다. "정신적으로 가라앉고 우울한가?" " 정신적 컨디션이 좋지 앟은가?" "육체적으로 기운이 없고 몸이 무거운가?" 그러면 운동을 시작하면 된다. 다른 것은 생각하지 말고 운동을 열심히 하면 된다. 정신과 육체를 최적의 상태로 만드는데 운동만한 것이 없다. 게을러 터져서 못했던 운동. 이제는 운동을 해야 하는 한 가지 이유가 더 생겼다. 육제적 건강과 더불어 정신적 건강을 위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