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기어가 된 조선 유학자, 윤휴 - 왕과 사대부, 그리고 사관마저 지우려 했던 조선 최초의 자유로운 사상가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시대나 성품이 곧고 바른생활만하는 사람들이 있다 대쪽같은 그 성품으로 그들은 항상

끝이 안좋게 끝나더라도 소신대로 행동하는...

백호 윤휴가 그 중 한명이라고 생각한다.

말도 안되는 명분으로 생을 마감한 윤휴를 역적으로 몰려 사형당한지 340년이 지난 지금도

그때와 다름이 없음을 새삼스럽게 느끼게 된다.

지금의 정치인들도 진보, 보수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서 집착하고 국민을 위한 정치인들이 없는 이 나라

국민을 위하는척~~ 만하면서 실속 채우는데만 급급한게 예나 지금이나 같아 씁쓸하기만 하다.

이 책은 총 9장으로 이뤄져있는데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책 내용이 쏙쏙~~ 들어온다고하죠.

저도 알고있는 부분은 정말 잼나게 읽었는데, 몰랐던 부분은 어렵게 느껴지면서도 아는 재미가 솔솔했던 책이랍니다.


당시 사대부 계급은 말로만 북벌을 외치고 실제로는 자신들의 이익이 우선이였다.

윤휴는 주작학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유학을 연구하여 당대 최고의 지성으로 꼽히던 선비였다.

현종 15년에 북벌의 의지를 담아 상소를 왕에게 올리는데 송시열등 서인들로부터 사문난적이라는 낙인이 찍히고 만다.

성현의 말씀 중에 남녀와 반상의 차이를 말한 바가 없음을 알고 여성들에게도 <<효경>>과 <<시경>>을 가르쳤다.

당시 중원 대륙에서는 오삼계등 청나라에 저항하는 삼번의 난이 일어나고, 대만을 장악한 정금 등이 복명의 기지를

드는 등 청나라를 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전차인 무강거 제장과 평민도 응시할 수 있는 만인과를 주장하는 등 공세적인 정책을 주창했고 부국강병을 위해 양반도 군역을 짊어져야 한다는 호포법을 실시하려 했다.

그러나 윤휴는 결국 서인들의 반란을 두려워했던 숙종과 송시열 등 서인 세력에 의해 1680년 사형 당하고 만다.



34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알고 있다.

윤휴가 어이없는 죽을 맞이한것을...

허적과 윤휴 등이 역적이 아니란 사실을 숙종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숙종은 왜 정권을 갈아치우는 데서 더 나아가 탁남과 청남의 영수를 죽이기까지 했을까?

숙종은 자칫하면 서인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자시을 쫒아낼 수 있다고 두려워했다.

그 결과가 정권을 서인에게 주는 것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 하나는 삼번의 난이 거의 끝난것. 숙종은 청나라에서 조선의 북벌 움직임을 조사할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했다. 아무 죄가 없던 탁남 영수 허적과 청남 영수 윤휴를 사형시킨 것은 청나라에 대한 면피용일 가능성이 크다. 숙종 자신은 아무 관련이 없고 북벌을 추진하던 당파의 두 영수를 "그래서 내가 죽였다."고 주장하면 면죄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숙종이 허적과 윤휴를 제거하려고했던 목적이라는것 ㅠ.ㅠ

당신 왕이란 존재가 바람앞에 촛불같은 존재라서? 아님 숙종이 너무 어려서?

윤휴가 죽어야 했던 실제의 죄는 두가지

하나는 실제로 북벌을 추진하려 했던 것이고, 다른 하나는 양반 사대부들도 평민들처럼 똑같은의무를 지는 대개혁을 실시하려던 것이였다.

서인정권시대 막말로 지들껀 하나도 손해보지 않으며, 말로만 북벌을 행하는 찌질한 선비의 모습이 아닐런지...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까지 유서 작성까지도 거부당한 이 시대의 진정한 선비가 아닐까 생각한다.

야사에 윤휴가 사약을 마시면서 이렇게 말했다고한다.


나라에서 유학자를 쓰기 싫으면 안 쓰면 그만이지,

죽일 것은 무엇 있는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한 생각은 아~~

한자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

아는만큼 보이는것처럼 알고 있는게 많으면 좀 더 몰입해서 읽을 수 있을텐데 하는 아쉼움과 내가 알지 못했던 학자들에 대한 관심을 갖고 좀 더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책이였다.

대한민국에 윤휴같은 도전적이면서 백성을 생각하는 정치인들이 많이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