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방인 (모노 에디션, 알라딘 특별판) 열린책들 세계문학 모노 에디션
알베르 카뮈 지음, 김예령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 문학이 내 길이라고 착각하던 학부생 때 <<이방인>>을 인생소설로 꼽았고 카뮈 편집자로 있던 적도 있지만, <<이방인>>을 최고의 소설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첫 문장이야 워낙 유명하다지만 서사가 거친 데다가 주인공이자 카뮈의 목소리를 투영한 뫼르소라는 인물에 이입하기가 어렵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첫 문장 원툴'이란 생각도 없잖아 있다. 


하지만 <<이방인>>을 소설이 아닌 철학 이야기récit로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물론 분류는 엄연히 소설roman이지만). 여전히 투박하고 이야기에는 구멍이 있지만, 뫼르소를 '엄마가 죽어도 무덤덤한 싸이코패스'가 아니라 '심성이 비틀어지지 않았지만 약간은 서툰 평범한 사람'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장례식 때 눈물 하나 흘리지 않는 아들이지만 그럼에도 어머니의 빈 자리를 느낀다는 설명을 (거듭) 덧붙이는 걸 보면 말이다. 어머니의 죽음과 아들의 죽음, 마리의 청혼과 뫼르소의 사형, 자연인 뫼르소와 사형수 뫼르소, 무의미한 변론과 유의미한 판결. 서로 충돌하는 시작과 끝 두 세계의 메타포가 노골적이리만큼 끊임없이 펼쳐진다. 그렇다면 이런 질문이 나올 법하다. 왜 이렇게까지 했을까?


항상 황금기를 누렸던 유럽이 20세기에 겪은 비극을 차치하더라도, <<이방인>>에서 반복하는 '왜?'는 지금도 유효하다. (카뮈와 같은 시간을 살았던 시몬 베유의 말을 빌리자면) "실제의 악은 우울하고 단조롭지만 실제의 선은 새롭고 매혹적"인데, 우울하고 단조로울 새도 없이 새롭고 우울한 실제의 악이 숨 쉴 때마다 터져나오니 말이다. <<이방인>>은 끊임없이 튀어 나오는, 영원히 멸망시킬 수 없는 악과 대면할 것을 권한다. 이런 상황에서 카뮈의 반항론이 계속 생명력을 갖는 건 당연한/당연해야 할 일이다. 작품 후반부 뫼르소가 자유간접화법으로 울분을 토하는 장면은 실제의 악과 마주한 개인이 할 수 있는 최대치의 반항이 아닐까 싶다. 그런 의미에서 뫼르소의 캐릭터는 시지프로 완성된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안과 겉>>에서 카뮈는 "삶에 대한 절망 없이 삶에 대한 사랑도 없"으며, "앞으로 나아간 줄 알았는데 사실 뒤로 물러설 때가 있"단다. 노벨문학상도 타고 프랑스의 셀럽으로 즐겁게 살다 간 양반도 절망 속에 살며 뒤로 물러설 때가 있는데, 우리라고 어쩔 도리가 있겠나? 계속 절망하고 물러서면서 악과 대면하는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있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김다연 외 지음 / 편않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없는 책을 이야기할 때 우리는 무슨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궁금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에 보이지 않는 돈의 지도책 - 세계 경제를 읽는 데이터 지리학
다리우시 보이치크 지음, 제임스 체셔.올리버 우버티 그림, 윤종은 옮김 / 윌북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금융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설명한 책이네요. 교재로도 괜찬을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혼 계약 을유세계문학전집 136
오노레 드 발자크 지음, 송기정 옮김 / 을유문화사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발자크는 역시 발자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뉴어리의 푸른 문
앨릭스 E. 해로우 지음, 노진선 옮김 / 밝은세상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새 부쩍 '벽돌 판타지 문학'이 보인다. 온갖 장벽이 있지만 '그럼에도' 출판사에서 이 책을 사오고 출간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자주 한다. 벽돌책이 주는 물리적 압박을 이겨내면 새로운 세상이 보인다. 이미 세계관이 머리에 들어온 이상, 손절하기엔 이미 늦었다. 《나니아 연대기》에서 옷장을 열듯, 이 작품에서는 문을 연다. 이 새로운 포탈 판타지는 터줏대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다크 타워, 황금 나침반을 이길 수 있을까?

데뷔작이란 게 신기할 정도로 독특한 문체와 설정이 눈에 띈다. 딸깍 한 번으로 이세계에 가는 '포탈 판타지'는 보통 바깥으로 나가며 거창한 세계관을 구성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반대로 책 안으로 들어가고 '책 속의 책' 이야기와 서사를 교차하며 세계관을 구축한다. 그 탓에 초반부는 이야기에 '들어가기' 어렵지만 한 번 들어가면 빠져나오기 힘든 흡인력이 있다(그게 한 200쪽은 가야 나오긴 하지만 말이다).

터줏대감을 제쳤느냐, 하면 '그렇다'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건 터줏대감들이 오랜 세월에도 살아남은 명작이기 때문이다. 그런 터줏대감이 되기까지 무수히 많은 과정이 있었다. 《재뉴어리의 푸른 문》도 그런 과정이 될 수 있을까. 거기에는 '그렇다'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럴 잠재력은 충분해 보인다.

#도서협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