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마스크, 얼굴 표정 읽는 기술
폴 에크먼 지음, 함규정 옮김 / 청림출판 / 2014년 2월
평점 :
절판
심리학은 인간의 모든 부분에서 연구를 해왔다.
언어심리학, 행동심리학, 조건심리학, 운동심리학 등 정말 많은 분야에서
사람을 이해하기위해 심리학이 발전해왔음을 이야기한다.
이 책은 얼굴에서 나타나는 표정. 즉, 즉각적인 반응에서 볼 수 있는
너무나도 짧은 그 순간을 포착해서 읽는 심리학이다.
저자 폴 에크먼을 모티브로 한 '라이 투 미'라는걸 책을 받고서야 알았다.
이 책을 보기 전, 한참 전(?)에 [언마스크 번역본이 나오기 전]에
미국 드라마 '라이 투 미'를 시청했었다.
비록 몇 안 되는 이야기들의 구성으로 끝나버렸지만,
심리학에 관해 공부를 하는 나로선 굉장히 흥미로웠다.
표정심리학이란 말 자체도 처음이였고,
범죄에 있어 묵비권을 행사할 때, 표정으로 찾아냄으로서
그 범죄를 해결하는 구성이 내가 모르는 또다른 심리학의 미지의 세계를 본 것 같았다.
책의 구성으로,
1부에서는 기본적인 표정과 감정이 표정으로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대해
책의 기본학습에 대한 글이고
2부에서는 표정이 실린 사진들을 보고 저자가 말해주는데로 학습하는 글
3부는 표정관리와 거짓말을 캐치하는 것, 시험같이 다양한 사람들의 사진을 놓고
무슨 감정을 느끼는지 직접 쓰라고 한다 .
드라마도 보고, 책도 여러 번 봐도 책에서는 표정의 모습이 영원하지만,
실제에서는 너무나도 찰나의 순간이다.
비전문가 입장으로 봤을 땐, 2부 구성을 여러 번 봤지만 아직도 어렵다.
한국에서는 친한 사람들과는 그 표정을 읽기야 쉽겠지만,
한국 정서상 반응에 대한 표정을 나타내는 것은 경거망동하다고
알게모르게 퍼져있는 것 같아 가족이나 친한 지인 외에는 그 모습을 좀처럼 찾기가 힘든 것 같다.
하지만 어찌 하겠는가, 표정을 읽으려면 공부해야하고 계속 파야되는 것이 맞는데.
표정심리학에 있어 시작부터 하려면 자신의 모습을 뚫어지게 쳐다보라고 말하고 싶다.
표본의 대상이 딱히 없거니와 타인을 보는 것도 좋지만
자신이 무슨 감정을 느꼈는지 자신만이 가장 잘 알고 행여 주위에서도
자신의 기분을 표현할 때, 웃을 때 눈이 매우 작아진다. 미간이 주름지도록 화를 낸다.
정말 티끌같이 지나가는 얘기들을 한 두번 쯤은 들어봤겠지만
그것이 자신의 감정에 대한 표정이 타인에게서 보여지는 것이다.
그 표정은 스스로가 보지는 못하지만 기분의 정도는 자신만이 알기에
이 책을 보고 관심이 간다면 그런 티끌같은 얘기도 허투루 보내지 말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