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란사 - 조선의 독립운동가, 그녀를 기억하다
권비영 지음 / 특별한서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란사 #권비영 #특별한서재

 

하란사. 한국 최초로 미국 유학을 떠나 문학사 학위를 받아온 여성.

 

본래 성은 김씨다. 후에 유족들이 여러 과정을 거쳐 김란사란 이름을 되찾았다고 한다. 불행한 어린시절. 아버지에게 등떠밀려 한 결혼. 다행히도 남편인 하상기는 그녀를 이해하고, 그녀에게 여러 기회를 주었다. 하란사라는 이름은 선교사가 지어준 낸시라는 이름을 란사로 바꾸고, 남편의 성을 붙여 완성된 이름이었다.

 

선교사로부터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고, 유학을 떠나고, 공부를 마치고 돌아와 한국 여성들에게 공부를 시킨다. 그 당시 유관순의 스승이기도 했다. 미국 유학시절 만난 의친왕. 고종의 다섯째 아들이다. 늘 깨어 있는 그녀였지만 유학길에서 만난 의친왕과의 시간 덕에 좀 더 독립운동을 위한 길을 걸을 수 있었다. 외로운 길을 홀로 걷고 있는 의친왕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내놓았다.

 

군자금을 모으고, 여성들을 교육하고, 꾸준히 의친왕을 돕는다. 그녀가 그렇게 움직일 수 있었던 건 그녀를 이해하고 지지하는 남편과 친구 화영이 있었기 때문이다. 자신의 마음을 숨긴 채 묵묵히 응원하며 원하는 것들 다 들어주었던 남편은 끝까지 그녀의 곁을 지키며 힘이 되어 준다. 기생이었다 후첩이 된 화영은 우연히 길거리에서 마주친 란사와 친구와 되어 곁을 지키며, 나라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꾸준히 해 나간다.

 

곳곳에서 누구 할 것 없이 독립 운동이 일어났던 시대. 일본의 탄압에 목숨을 잃어가면서도 꺼지지 않은 불꽃들. 그 길을 찬란하게 걸었던 의천왕과 하란사. 이름 없이 죽어간 의병들. 작은 불꽃 들은 결국 나라의 독립을 가져왔다.

 

경찰서 앞에서 외친 기생 30여명의 대한 독립 만세

감옥 안에서도 울려퍼진 노래 대한 독립 만세

물건을 팔며, 부랑자를 도우며, 목숨을 내어놓고 외친 대한 독립 만세

 

그들을 기억하며..

 

P215. “제 것을 빼앗기는데 가만히 있는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 애국은 특별한 사람들만 하는 게 아니고 우리 모두 해야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