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 맞지 않는 아르테 미스터리 18
구로사와 이즈미 지음, 현숙형 옮김 / arte(아르테)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에맞지않는 #구로시와이즈미 #아르테 #arte

 

그 누가 누군가에게 인간이 맞고, 맞지 않고를 평가할 수 있을까? 그 기준은 무엇이 될 수 있을까?

 

이형성 변이 증후군. 어느 날 갑자기 발생하게 된 병명이다. 어제까지도 인간이었던 내 아이가 오늘 방 문을 열어보니 이상한 모습으로 변해있었다. 그 당황스러움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미하루의 아들은 은둔형 외톨이다. 소설은 몇 년 째 방안에서 나오지 않고 얼굴 보기가 어렵다. 그런 아들을 이해하지 못해 비난만 쏟아붙고 결국에는 포기해버린 아버지 이사오와 아들을 이해한다고 하지만 자신의 기준에 맞춰 평균에 맞는 아들로 키워야 한다고 생각하는 어머니 미하루의 가정이야기에서 시작된다.

 

말할 것도 없이 초반부터 몰입해 읽을 수 있었다. 소설의 소재가 너무도 독특했고, 놀라웠다. 초반엔 스릴러 소설이 아닐까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그만큼 소름끼쳤고, 놀라웠고, 당황스러웠다. 하지만 읽다보니 이 소설은 성장소설이 아닐까 싶다. 변이된 사람들은 모습이 다양했다. 정확히 어떤 모습이라고 특정할 수 없는 이상한 모양이었다. 변이가 되면 국가에서는 그들을 사람이라고 인정하지 않았다. 그들이 죽던, 죽이던, 사라지던 아무도 신경쓰지 않았다. 오히려 집안의 짐이었던 문제아가 사라져 마음이 가벼워진 사람들도 있었다. 변이가 진행된 수 많은 가족들의 마음과 그들의 대처를 보며 인간의 약함과 따뜻함, 그리고 악함까지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이사오의 행동들 때문에 화가 나기도 했다.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보는 듯 했다. 사회적 약자, 쓸모 없는, 불필요한 이라는 단어를 앞에 붙여 벌어지는 차별과 이해 부족은 지금 우리 사회에서도 수 많은 문제가 되고 있다. 누군가를 탓하기 전에 나를 먼저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

 

처음엔 젊은이들 사이에서 시작된 병은 점점 넓게 퍼지기 시작한다. 누군가에게 집중된 문제가 아니라 많은 자리와 역할에서 두루두루 발생하기 시작한다. 누가 누굴 탓할 수 있을까.

 

결국 미하루는 고민과 갈등, 사회의 대처 등을 보며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유이치에게 어떤 부모였는지, 어떤 엄마였는지.. 아이를 위한다는 말 이면에 얼마나 이기적인 마음이 있었는지. 원망하고 남탓하며 좌절감에 빠지는 대신 그녀가 선택한건 행동과 통찰이었다. 그런 그녀는 응원한다. 미하루 같은 사람이 많아진다면 세상은 또 조금 변할 수 있지 않을까?

 

P321. 아이에게는 유일한 존재일 부모, 그 누구보다도 자기편이어야 할 부모에게 계속해서 부정당하면, 비뚤어져버리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모습이 이형이 되기 이전에 마음이 이미 이형이 되어 있었을 것이다. 자신이 그냥 자신으로 존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